2025.11.11 (화)

  • 맑음동두천 7.5℃
  • 맑음강릉 7.6℃
  • 맑음서울 10.1℃
  • 맑음대전 9.2℃
  • 구름많음대구 9.7℃
  • 구름많음울산 10.8℃
  • 맑음광주 11.0℃
  • 맑음부산 12.1℃
  • 맑음고창 7.9℃
  • 맑음제주 13.1℃
  • 구름조금강화 8.2℃
  • 구름조금보은 7.1℃
  • 맑음금산 6.6℃
  • 맑음강진군 9.2℃
  • 구름많음경주시 7.4℃
  • 맑음거제 8.5℃
기상청 제공

그린바이오 산업, 국가 거점도시로 '우뚝'.......정읍시 !

-국내 최초 농축산물, "미생물 자동화 분석 인프라"-

[아시아통신] 

<미생물산업 육성 지원센터 개소식 장면>

 

요약

전북 정읍시가 그린바이오 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아 국가 거점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아래에 주요 추진 현황, 의미, 향후 과제 등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주요 추진 현황

  • 정읍시는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해 총 5 29 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습니다. 

  • 2024년에는 농림축산식품부 공모사업인 ‘그린바이오 소재 첨단분석시스템 구축사업’에 선정되어 총 99 억 원이 투입될 예정입니다. 

  • 미생물 산업 분야에서 AI·로봇 등 첨단기술을 도입해 전 주기(소재 개발 → 제품화 → 대량생산) 밸류체인을 구축 중입니다. 

  • 이미 미생물 효능평가 지원사업을 통해 다수의 기업을 지원해 왔으며, 미생물 기반 산업화 인프라가 갖춰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왜 의미가 있는가

  • 그린바이오 산업은 농업생명자원에 생명공학·디지털기술을 접목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분야로, 정부도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있습니다. 

  • 정읍시는 지역 자원(농축산용 미생물 등)과 이미 구축된 인프라(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 등)를 바탕으로 지역특화형 거점화가 가능하다는 평가입니다.

  • 산업 생태계가 전주기(개발→실증→생산)로 형성되면 지역경제 활성화, 기업 유치, 일자리 창출 등의 효과가 기대됩니다.


향후 과제 및 유의점

  • 첨단분석시스템 등 인프라 구축이 완료되어도 실제 기업 유치 및 산업화 전환이 뒤따라야 합니다. 기술개발-상용화 간 갭(technology-to-market gap)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인력양성, 규제 대응, 시장확대 등 산업 생태계 전반의 안정적 운영이 필수입니다.

  • 국내외 경쟁이 치열한 바이오 분야인 만큼, 특화분야 선정 및 차별화 전략이 필요합니다. 예컨대 미생물 소재, 천연물 소재 등에서 강점을 어떻게 유지할지가 관건입니다.

  • 지역사회와 농업기반 산업과의 균형도 고려해야 합니다. 그린바이오가 농업·생명자원과 연계된다면, 농가 및 지역경제와의 상생이 핵심입니다.


결론

정읍시가 그린바이오 산업에서 국가 거점 도시로 도약 가능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입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