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

양궁선수 안산이 했다는 올레이저 라섹이란?

 

 

도쿄 올림픽 열기가 뜨겁다. 그 열기만큼이나 메달을 딴 선수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 특히, 지난주 양궁에서 끝까지 흔들림 없는 대범한 플레이로 금메달을 목에 건 양궁의 안산 선수는 단연 도쿄 올림픽 최고의 스타다. 안산 선수의 헤어스타일, 패션 등 일거수 일투족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안산 선수가 올림픽을 앞두고 받았다는 시력교정술 ‘올레이저 라섹’도 덩달아 화제다. <양궁 금메달리스트 안산 선수 _ 안산 인스타그램> 비단 운동선수들 뿐 만 아니라, 평소 스포츠를 좋아하거나 안경, 콘텍트 렌즈가 불편했던 일반인들에게도 시력교정술은 한 번쯤 고민해 보게 되는 대중적인 수술이 되었다. 그렇다면, 시력교정술에는 어떤 종류가 있고 그 중, ‘올레이저 라섹’은 어떤 경우에 가능한 걸까? 시력교정술에는 크게 라식과 라섹 그리고 렌즈 삽입술이 있다. 라식은 각막을 크게 열어 각막 안쪽을 깎고 절편(뚜껑)을 덮어주는 방식이라면, 라섹은 각막 표면을 한 번에 깎아 시력을 교정한다. 렌즈 삽입술은 말 그대로 시력교정용 렌즈를 안구 내 수정체 앞쪽에 직접 삽입하는 수술이다. 최근에는 알코올이나 브러쉬 대신 100% 레이저로 각막을 절삭하는 방식의 ‘올레이저 라섹’ 등 기존 라식, 라섹 수술의 단점을 보완한 수술법이 주목받고 있다. 성남센트럴안과 박상준원장(각막 및 시력교정수술 분과 전문의)은 “기존 라섹은 절편 없이 각막상피를 한 번에 깎는 수술이라 수술시간도 짧고 외부 충격에 강한 반면, 각막의 상처 때문에 수술 후 통증이나 시림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하지만, 올레이저 라섹은 이런 기존 라섹의 단점을 보완했다. 100% 레이저로 수술하기 때문에 각막의 표면을 균일하게 절삭할 수 있고, 각막절삭량이 적기 때문에 빛 번짐이나 안구건조증, 각막혼탁 등의 수술 후 부작용이 적다. 운동선수들이나 군인 등 평소 움직임이 많은 사람들에게 적합한 편이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가장 좋은 수술법은 사람마다 다르다. 다른 사람이 해서 좋았다거나, 요즘 유행하는 수술이라고 해서 무조건 따라해서는 안된다. 시력교정술은 각막의 두께나 질환 여부, 유전적인 요인, 심지어 취미나 직업 등까지도 고려해야하는 예민하고 중요한 수술이다. 따라서 안과에 내원해서 꼼꼼하고 정밀한 검진을 받아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수술 후 관리 또한 수술만큼이나 중요하다.”는 게 박상준(성남센트럴안과 원장) 안과 전문의의 설명이다. <성남센트럴안과 박상준 원장>
배너
배너


김영옥 보건복지위원장, 『지역아동센터 중학생 위한‘서울런’지원』추진 적극 환영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옥 위원장(국민의힘, 광진3)은 서울시가 오는 7월부터 지역아동센터 중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서울런’ 시범사업과 향후 사업 확대 계획에 대해 “교육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매우 의미 있는 정책”이라며 적극 환영의 뜻을 밝혔다. ‘서울런’은 취약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강의와 1대1 멘토링을 무료로 제공하는 서울시의 대표 교육복지 사업이다. 특히 이번 시범사업은 아동복지시설인 지역아동센터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간 멘토링과 학습 콘텐츠 개방, 전용 ID를 활용한 학습관리 기능 강화 등을 포함하고 있어 현장의 실질적 수요에 부응하는 조치로 평가받고 있다. 김영옥 위원장은 “교육에서 출발선의 차이는 곧 삶의 격차로 이어진다”라며, “서울런 대상 아동임에도 실제 이용률이 낮았던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이번 시범사업이 추진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며, 실제 교육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김 위원장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농협의 민간 후원이 더해진 이번 사업은 민관 협력의 우수 사례로, 서울시 복지 정책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며, “시범사업 이후 전면적인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