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통신]

<정읍시가 추진하는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심의회 장면>
정읍시가‘지역사회보장계획’을 통해 복지 청사진을 구체화했습니다. 최근 대표협의체 심의회에서 확정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내용 요약
-
심의회 개최
-
2025년 11월 25일, 정읍시청에서 이학수 시장 주재로 ‘정읍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대표협의체 심의회’가 열림.
-
대표협의체 위원, 각 사업 담당 공무원 등이 참석해 연차별 시행계획 심의.
-
-
계획의 개요
-
지역사회보장계획은 정읍시가 시민이 체감하는 복지를 실현하기 위해 추진하는 4년 단위의 종합 계획.
-
복지뿐 아니라 고용, 건강, 교육, 문화, 환경, 주거 등 삶의 질 전반을 포괄.
-
-
핵심 분야 및 전략
-
5대 핵심 분야:
-
건강·돌봄
-
민생경제
-
생활환경
-
보육·교육
-
지역 안전망
-
-
8대 추진 전략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총 46개의 세부사업을 확정. 세부사업 방향
-
-
-
위기가구 발굴을 위한 시스템 강화
-
사회보장급여 이용 기반 구축
-
민관 협력 및 거버넌스 운영 강화
-
복지 인프라 확충 등
-
특히 미래세대를 위한 신규 사업 포함:
-
청소년 글로벌 인재 양성
-
수상 안전 교육
-
교육협력지구 사업 등 교육·청소년 분야 강화
-
시장 입장
-
-
-
-
이학수 시장은 “현장의 목소리를 더 적극적으로 경청해, 시민이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복지를 만들겠다”고 강조.
-
또한 “민관이 함께 만들어 가는 협력 복지로 따뜻한 정읍형 복지 모델을 완성하겠다”고 밝혀,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의 긴밀한 소통 의지를 재확인.
-
해설 및 의미
-
종합성: 정읍시의 계획은 단순한 복지 정책이 아니라 고용, 교육, 주거, 환경 등 삶의 여러 요소를 아우르는 포괄적 전략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
지속 가능성: 4년 단위 계획 + 연차별 시행계획으로 구체적인 실행 로드맵을 갖췄고, 민관 협력 구조를 중심으로 거버넌스도 강화함으로써 지속성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보였습니다.
-
미래 투자: 특히 청소년 글로벌 인재 양성 등 미래 세대에 대한 투자를 신규 사업으로 포함한 것은, 정읍시가 단순한 복지 제공을 넘어 ‘미래 대비’ 전략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신호입니다.
-
현장 참여: 이학수 시장의 발언에서도 나타나듯, 주민 의견을 반영하는 참여형 복지를 지향하고 있어, 주민 체감형 정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