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통신]
<보안면 우리밀 체험마을에서 스마트폰 활용교육을 실시하였다.>
“농촌 마을에 ‘디지털 바람’… 부안군, 우동권역 스마트폰 교육 인기”라는 주제로, 관련된 내용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내용 요약 / 핵심 포인트
부안군 농어촌종합지원센터는 보안면 우동권역 주민 23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활용 교육
을 실시했습니다.
-
교육 기간은 8월 18일부터 10월 13일까지, 8회차로 운영되었고
-
커리큘럼은 스마트폰 기본 조작·설정, 앱 설치 및 활용, 사진·영상 촬영 및 편집·공유 등 실습 중심으로 구성됨
-
교육 가운데 권역 밴드를 개설하여 마을 간 정보 공유체계를 마련, 공동체 소통 활성화 기능도 함께 추진됨
-
부안군 쪽에서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주민들의 디지털 활용 역량을 높이고, 일상속 정보 접근성 및 소통 기반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임을 밝혔습니다.
이 사례는 “농촌 지역에서도 디지털 기술이 단순히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주민들의 삶 속에 점차 융합되며 변화의 계기를 마련하는 실질적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어 보입니다.
분석 및 의미
이 사업이 갖는 의미, 효과, 한계 등을 몇 가지로 나눠볼 수 있어요.
항목 | 긍정적 효과 / 의의 | 유의할 점 / 한계 |
---|---|---|
디지털 역량 강화 | 주민들이 스마트폰을 더 잘 다루게 되면, 행정 서비스, 건강관리, 정보검색 등 다양한 영역의 접근성이 높아짐 | 기초 수준 교육에서는 한계가 있고, 심화 활용까지 이어지기 위한 후속 프로그램 필요 |
공동체 소통 기반 조성 | 권역 밴드나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마을 간 정보 공유와 협업이 가능해져 마을 공동체 강화 | 참여율이 낮거나 유지가 어려울 경우 밴드가 활성화되지 못할 수 있음 |
문화기록 및 자산화 | 마을 문화를 사진·영상으로 기록해 남기고 공유할 수 있는 역량 확보 | 촬영이나 편집 기술이 일정 수준 이상 되어야, 콘텐츠 품질이 나쁠 경우 활용도가 낮아질 수 있음 |
지속가능성 확보 | 단발성 교육이 아니라 정기적·지속적 프로그램으로 연결되면 변화가 장기적으로 남을 가능성 높음 | 예산, 강사 확보, 주민 동기 부여 등이 지속적으로 뒷받침돼야 함 |
제안 / 발전 방향 아이디어
이런 교육 사업이 더욱 효과적으로 지속되려면, 몇 가지 보완 및 발전 방안이 있겠어요:
-
심화 과정 개설
기본 조작 위주 교육 이후, 주민들이 콘텐츠 제작, SNS 운영, 마을 홍보 영상 제작 등을 할 수 있는 심화 과정이 있으면 좋겠어요. -
멘토링 및 지원 체계 마련
마을 내 또는 인근 지역에 디지털 활용에 능숙한 주민이나 전문가를 멘토로 지정해, 교육 이후에도 질문이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면 참여 유지와 역량 확장에 도움이 됩니다. -
성과 공유 및 전시 기회 제공
주민이 만든 사진·영상 콘텐츠를 마을 축제, 마을신문, 인터넷 등에서 공유해 “내가 만든 것”이라는 자존감이 생기고, 다른 지역 주민도 자극받는 효과 있을 거예요. -
연계 프로그램 개발
예컨대 건강관리 앱, 농업 정보 앱, 지역 상점 알림 앱 등을 주민 교육과 연계하면, “배운 것을 활용하는 동기”가 더 강해질 거예요. -
지속 예산 확보와 제도적 기반 마련
이와 같은 교육이 일시 행사로 끝나지 않으려면, 행정 차원 예산 편성 및 교육 인프라(교실, 기자재 등)를 마을 단위로 확보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