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8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칼럼/만평

[기고]유월의 빛, 모두의 보훈이 되다

 

창밖에는 태양이 작열하고 온 세상에 푸른 나뭇잎이 가득한 여름이다. 생기로 가득찬 유월의 풍경을 가만히 보고 있노라면 불과 몇 달 전 우리의 계절은 눈 덮인 겨울이었다는 것이 거짓말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마치 지금의 눈부신 번영을 이룩한 대한민국이 한때는 자유를 빼앗기고, 전쟁의 참상이 가득한 땅이었다는 사실만큼 말이다.

 

올해는 대한민국이 일제로부터 해방된 지 꼭 80주년이 되는 해이다. 긴 투쟁과 항거 끝에 마침내 찾아온 '광복'은 말 그대로 이 땅에 밝은 빛을 되찾아 주었다. 그러나 조국 독립의 감격이 채 가시기도 전, 6.25전쟁이라는 참혹한 어둠이 다시 찾아왔고 우리는 또다시 수많은 사람들의 목숨으로 이 땅의 자유와 평화를 빚졌다.

 

국가보훈부에서 추진하는 「모두의 보훈」은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이 지켜 온 소중한 빛의 의미를 우리 모두의 삶 속에서 다시 밝히고자 하는 노력이다. '보훈'은 특정 사람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제한된 행정이 아니라, 과거를 기억하고 감사하며 더 나은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야 할 우리 모두의 책임이기 때문이다.

 

특히 호국보훈의 달은 나라사랑의 마음을 일상 속에서 실천하는 계기가 되어줄 뜻깊은 시간이다. 국민들은 이 기간 동안 더 많이 현충시설을 방문하여 추모에 동참할 뿐만 아니라, 전 세대를 아우르는 다채로운 보훈문화행사에 참여함으로써 보훈의 가치에 공감할 수 있다. 교육현장에서는 대한민국 영웅들의 나라사랑 정신을 가르치며 미래세대에 전승한다. 기업은 다양한 민관협업과 복지사업을 통해 보훈문화 확산에 앞장선다. 각자의 자리에서 실천하는 보훈은 이처럼 우리의 일상 속 가까이에 있다.

 

광복 80주년의 호국보훈의 달, 우리는 다시 한 번 묻는다. '우리가 빚 진 이 빛을 어떻게 다음 세대에게 전해줄 것인가?' 그 질문은 그들이 지켜낸 오늘을 사는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과제이자, 앞으로 우리가 어떤 마음과 태도로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물음이다. 보훈은 특별한 이들의 몫이 아니라 감사와 책임을 실천하는 우리 모두의 삶 속에 있기에, 「모두의 보훈」이 그 질문에 대한 답이 되길 바란다.

 

호국보훈의 달이 한 해의 중심인 6월인 것은, 바쁜 일상 속 잠시 멈춰 숭고한 희생을 되새기고, 남은 반 년을 더 의미 있는 나눔으로 채워가자는 약속의 뜻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이 눈부신 유월, 우리 "모두의" 마음속에 "보훈"이라는 작은 빛을 하나씩 켜고, 감사와 기억, 그리고 평화를 이어가는 길에 함께 서기를 바란다.

배너
배너

수원특례시의회 김소진 의원, 보훈대상자 예우 확대 위한 조례 대표 발의
[아시아통신] 수원특례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소진 의원(국민의힘, 율천·서둔·구운·입북동)은 6월 호국 보훈의 달을 맞아, 국가와 지역사회를 위해 헌신한 국가보훈대상자에 대한 예우를 강화하기 위해 「수원시 국가보훈대상자 예우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대표 발의했다. 이번 조례안은 기존에 65세 이상에게만 지급되던 보훈명예수당의 연령 제한을 폐지하여, 전 연령의 국가보훈대상자 본인과 65세 이상 유가족에게 수당을 지급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참전유공자(월 10만원)와 그 외 보훈대상자(월 8만원) 간에 차등 지급되었던 수당 금액을 모두 월 10만원으로 통일함으로써, 예우의 형평성을 제고하고 연령이나 대상 유형에 따른 제도적 사각지대를 해소하고자 했다. 김소진 의원은 “국가를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신 분들에 대한 예우는 세대와 연령을 초월하여 온전히 존중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수원시가 보훈정신을 실현하고, 따뜻한 보훈도시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해당 조례안은 제393회 수원특례시의회 제1차 정례회에서 심의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