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통신]
<정읍시청전경>
정읍시가 동학농민혁명의 세계화를 목표로 시작한 세계혁명도시 연대회의가 올해로 4회째를 맞으며 국제적 위상을 다졌다.
10일 정읍 연지아트홀에서 열린 컨퍼런스에는 독일, 일본, 브라질 등 다양한 국가의 도시들이 참여해 각국의 농민봉기 역사를 공유하고 그 현대적 의미를 되새겼다.
특히 올해는 독일 뮐하우젠이 4년 연속 참여한 가운데, 일본의 시마바라시와 브라질 바이아주의 카누두스가 처음으로 초청돼 각 도시의 농민봉기에 대해 발표하며 연대의 폭을 넓혔다.
또한 프랑스 혁명 당시 농민들의 저항운동에 대한 발표도 진행돼 향후 프랑스 혁명과 동학농민혁명과의 연계 협력 방안도 논의되는 등 자유와 평등을 위해 싸우며 근대혁명 정신을 표상했던 농민봉기의 다양한 사례들이 심도 있게 조명됐다.
첫 번째 발표를 맡은 순천향대학교의 권의석 교수는 올해로 4회째에 이른 세계혁명도시 연대회의가 ‘지역사의 세계화’라는 중요한 가치를 드러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는 각 도시가 간직한 혁명의 역사를 전 인류가 공유하는 정의를 위한 범세계적 투쟁의 일부로 조명하는 의미를 갖는다고 설명하며 회의의 의의를 강조했다.
두 번째 발표자로 나선 독일 뮐하우젠 기록보존실장 안티에 슐롬스(Dr. Antje Schloms) 박사와 뮐하우젠시 관광재단 대표 낸시 크루그(Nancy Krug)는 독일농민전쟁 500주년에 초점을 맞췄다.
이들은 뮐하우젠이 독일농민전쟁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어떻게 현대적으로 수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를 도시 성장을 위한 역사관광 자원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어떤 전략과 사업을 기획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