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포토뉴스

사랑비 보슬비 실비


“가늘게 내리는 비”라서 ‘가랑비’입니다. 가랑비보다 더 가늘게 내
리는 비는 ‘이슬비’라고 해요. 똑같이 가늘게 내리는 비이지만,

바람이 없는 날 드문드문 조용히 내리는 비는 ‘보슬비’입니다.
‘실비’는 “실처럼 내리는 비”예요.
가늘구나 하고 느끼는 마음은 사람마다 다를 테니, 누군가는 가랑비라
말해도 누군가한테는 실비일 수 있어요. 가늘게 내리는 느낌을 살려서
‘실 오라기비’나‘실오리비’처럼 새롭게 이름을 붙여도 됩니다.

최종규 저(著) 《새로 쓰는 비슷한 말 꾸러미 사전》
(철수와 영희, 17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베두인들에게는 ‘낙타 를 지칭하는 낱말이 천 가지도 넘는다고 합니다.
이누이트들에게는 ‘눈’ 의 종류를 구별하는 어휘가 수십 가지이고,
스콜이 매일매일 퍼붓는 적도 근처의 어느 나라엔 ‘소나기’ 를 뜻하는
낱말들이 셀 수 없이 많다고 합니다.

 

 

언어 철학자 비트겐슈타인은 자신의 저서 《논리-철학 논고》에서
“내 언어의 한계는 내 세계의 한계이다(The limits of my language
are the limits of my world)” 고 했습니다. 사람은 자기가 가진 언어
만큼의 세상을 봅니다. 내 언어의 한계가 내 지성의 한계이고, 생각의
한계입니다. 사람은 언어만큼 생각을 합니다. ‘소나기’ 하나만 아는
사람은 가랑비, 이슬비, 보슬비, 실오리비를 말하는 사람의 감성과 상
상력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사람은 자주 반복해서 들었던 말로 자신의
세계를 하나하나 만들어갑니다. 언어는 세상을 내다보는 창입니다.
비트겐슈타인의 말을 뒤집어 생각해보면 ‘언어의 한계를 극복해 인식의
한계도 극복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언어의 한계를 넘어서는 사람이
세계의 한계를 넘어섭니다. 내 세계의 한계를 키우려면 무엇보다도 내가
사용하는 언어를 바꾸어야 합니다.

 

 

‘말’ 중의 최고의 말은 믿음의 말, 축복의 말, 사랑의 말입니다.
말에도 온도가 있습니다. 너무 뜨거워도, 얼음처럼 차가워도 안 됩니다.
성경은, 대화의 기술을 높여 능수 능란한 말, 촌철살인 같이 꼼짝 못
하게 하는 말을 하는 사람을 가리켜 ‘말을 잘하는 사람’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믿음의 말, 살리는 말, 따뜻한 말을 하는 사람을 말을 잘하는
지혜로운 사람이라고 합니다.
 

 

“선한 말은 꿀송이 같아서 마음에 달고 뼈에 양약이 되느니라.”
(잠16:24)

<강남 비전교회 / 한재욱 목사>

 

 

 

 

 

 

 

 

 

배너
배너


최호정 의장,“예산 우선 순위 겉모습보다는‘기본에 충실한 서울’이 돼야”
[아시아통신]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은 최근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지반침하의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는 노후 상․하수도관 교체에 속도를 내기 위해 향후 5년간 정비 예산 1조 5천억 원을 추가 투자할 수 있도록 재원 마련에 나선다. 최호정 의장은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 지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개정 조례안 2건을 발의, 지반침하로부터 시민 안전을 지키겠다고 밝혔다. 최 의장은 “한정된 예산에 우선순위를 정해야 한다면 공공 기본 인프라 정비가 가장 먼저일 것”이라며, “기본이 바로 서지 않았는데 겉만 화려하게 치장하는 것은 모래 위에 쌓은 성에 불과하다. 겉모습보다는 ‘기본에 충실한 서울’이 돼야 한다. 미래세대 부담이 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노후 시설을 제때 정비해야 한다”라고 조례 개정에 나선 이유를 밝혔다. 이번에 개정 발의한 조례는「서울특별시 수도사업 설치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서울특별시 재난관리기금의 설치 및 운용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다. 상수도의 경우 2040년까지 장기사용 상수도관 약 2,800km 정비(교체)를 계획하고 있으나,‘중기지방재정계획(’25~’29년)’에는 예산 부족 등의 사유로 목표 대비 약 55% 수준의 정비물량을 반영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