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고창 13.0℃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3.7℃
  • 맑음강진군 14.8℃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포항시, 비대면 시대의 똑똑한 독서생활 스마트도서관을 이용해보세요!

지역 주민 생활 속으로 찾아가는 도서관, 훌륭한 문화 교두보로 활용도 UP

 

 

 아시아통신 최지나 기자 | 포항시립작은도서관은 스마트도서관 운영을 통해 언택트 시대에 적합한 비대면 도서 대출을 진행하고 있다.

 

 

스마트도서관은 RFID(무선주파수 인식) 기술을 이용한 ‘도서자동반납분류기’를 도입해 대출·반납 업무 자동화로 이용의 편의성을 높이는 똑똑한 무인 도서관이다.

 

 

2017년 문화체육관광부의 U-도서관 서비스 사업 추진을 계기로 시작된 스마트도서관은 포항의료원을 시작으로 현재 철길숲 스마트도서관까지 총 9개가 설치돼 운영 중이다.

 

 

스마트도서관 운영은 주로 공공기관·공공도서관 등 편의시설이 멀어 이용하기 힘든 지역에서 하며, 이는 시민들의 문화생활이 물리적인 조건에 구애받지 않도록 하는 세심한 배려를 담고 있다.

 

 

특히, 송라면 행정복지센터, 포항의료원, 세명기독병원, 해양공원, 철길숲 스마트도서관은 365일 24시간 운영돼 지역민들이 원하는 시간 어느 때나 편리하게 대출·반납이 가능하다.

 

 

북구 장성동에 위치한 현진에버빌 스마트도서관은 아파트 내 커뮤니티센터에 위치하며, 휴일 없이 오전 8시부터 오후 9시까지 이용이 가능하다.

 

 

오천읍민복지회관, 인덕동어울림복지회관, 두호동노인복지회관 같은 기관 내에 위치한 스마트도서관은 각 기관의 운영시간에 맞춰 운영되며, 복합문화를 향유하고자 하는 시민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각 도서관은 300~500권에 달하는 장서를 보유 중이며, 이용자의 희망도서 및 신간, 베스트셀러를 비치해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도서를 선별 제공하고 있다.

 

 

스마트도서관 9개소의 대출방법은 시립도서관 회원증을 통해 가능하며, 이 중 5개소(포항의료원, 노인복지회관, 해양공원, 세명기독병원, 현진에버빌)에서는 신분증으로도 1인당 2권을 14일까지 대출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도서관은 자료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무인으로 운영되므로, 반납 시에는 대출한 스마트기기에서 하는 것이 원칙이다.

 

 

도서관 관계자는 “스마트도서관이 접근 중심의 독서 환경을 제공해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훌륭한 ‘독서 문화 교두보’로 활용되기를 희망한다”며, “앞으로도 이용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테니 시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이용을 바란다”라고 전했다.
배너
배너

운항 재개 '한강버스', 주말동안 6,138명 탑승… 시민 호응 높아
[아시아통신] 지난 토요일(11월 1일) 운항을 재개한 ‘한강버스’가 이틀간 6,138명이 탑승하며 순조로운 시작을 알렸다. 토요일 탑승객은 3,261명, 일요일 탑승객은 2,877명이었다. 이틀간 마곡행 3,014명, 잠실행 3,124명으로 양방향 탑승객은 비슷한 수준으로 집계됐다. 특히, 오후 시간대에는 많은 시민이 한강버스를 타기위해 선착장을 찾으며 번호표 발급하는 등 일찌감치 탑승이 마감되는 사례가 나올 정도로 인기가 있었다. 시는 한 달여 간의 무승객 시범운항으로 한강버스 안전성과 접‧이안 숙련도를 향상한 결과 정시성도 강화됐다고 강조했다. 첫날 오전 9시에 잠실을 출발한 한강버스가 옥수역에 9시 37분에 정확히 들어와 39분에 출발했고, 여의도선착장 도착 후 10시 23분에 다음 선착장인 망원선착장으로 정시 출발하는 등 공지된 시간표와 일치하게 운항을 이어나갔다. 한강버스 선착장도 연일 시민들로 북적였다. 여의도선착장 스타벅스와 라면존을 비롯해 뚝섬선착장 LP바 ‘바이닐’ 등 인기 있는 부대시설은 오전부터 빈자리가 없을 정도였다. 시는 “한강을 인근에 거주하는 시민만 즐기는 곳이 아닌 모든 시민이 더 가깝게 체험하고 즐길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