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

'1천만원짜리 명품 백'은 "누가 들고 다닐까?

예전에는' 명품'이라고 하면 장안에서 손꼽히는 유한마담이나 정말 부자집 '사모님'정도였는데 요즘엔 나이에 관계없이 젊은 사람들까지 '명품'에 제 정신들이 아닌듯 싶다. 샤넬이 '자사의 유명제품 값을 곧 올릴 것'이라는 소문에 수많은 인파가 서울 중심가의 샤넬 매장에 떼를 지어 몰렸다는 소식에 많은 국민들이 씁쓸해 하고 있다. 신조어로 '오픈 런'이라는 말도 생겨 났다고 한다. 전문매장이 문을 열기 전에 뛰어가 줄을 선다는 뜻이라고 한다. 더욱 시민들의 얼굴을 찡그리게 하는 것은 장사진 속의 인물(?)들 표정들이 너무나 당당하고 '나는 특권층'이라는 인상을 풍긴다는 점이다. 줄 선 사람들 가운데 거의 대부분이 젊은 층이라는 게 눈길을 끈다. 재벌 2세들은 아닐터인데..? 이 중에 상당수는 자신들을 일걸어 '명품메니어'라고 부른다고 한다. 또 상당수는 '물건을 샀다가 되팔아 이익을 챙기는 전문 장사꾼'들이 포함됐다는 분석이다. 우선 서민들은 코로나 19로 인한 팬데믹으로 어떻게 이 난국을 헤쳐나가야 할찌를 고민하고 있는 상황에서 길게 늘어선 '명품구매 행렬'같은 모습만큼은 보지 얺기를 바랄 것이다. 외신과 업계에 따르면 프랑스 명품 고가 브랜드 샤넬은 내링(7월 1일)부터 미국에서 판매 중인 주력 제품의 판매 가격을 대폭 인상한다. 그 가운데 우리 국내 에서도 큰 인기를 모으고 있는 샤넬 클래식 플랩낵의 경우 인상률은 최대 12%선으로 알려졌다. 이 상품의 미국 내 현 가격은 6,800달러(약 768만원)이다. 여기에 인상률 12%를 보태면 샤넬 클래식 플랩백의 가격은 880~900만원선까지 올라간다. 이 가방의 우리나라 국내 가격은 864만원선이다. 여기에 12%가 얹어지면 약 977만원으로 1,000만원에 육박하게 된다. 샤넬은 공식적으로 국내시장에서의 가격인상을 발표하지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외국에서 먼저 인상한 뒤슬그머니 국내에 인상률을 적용하는 것이 고도의 상술전략이기 때문에 7월 이후에는 인상률 12%가 그대로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주부터 국내에는 이미 샤넬제품가 인상설이 나돌았고, 이 영향으로 도심 백화점의 샤넬 매장이 북새통을 이뤘다. 실제로 지난 29일 오전 서울 소공동롯대백화점 샤넬 매장 앞은 북새통이었다. 샤넬의 가격인상으로 인한 소동(?)은 이번 뿐민이 아니다. 지난 2월 일부 제품의 국내 가격 인상 때도 소동이 벌어졌었고 4월 에도 한차례 회오리가 불었다. 이번까지 벌써 세 번째이다. 그 때마다 난리법석들이었다. 한마디로 '광풍(狂風)' 이다. 아르바이트 학생까지 동원에 줄을 서게 한다니 더 더욱 가슴이 아려진다.
배너
배너


김영옥 보건복지위원장, 『지역아동센터 중학생 위한‘서울런’지원』추진 적극 환영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옥 위원장(국민의힘, 광진3)은 서울시가 오는 7월부터 지역아동센터 중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서울런’ 시범사업과 향후 사업 확대 계획에 대해 “교육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매우 의미 있는 정책”이라며 적극 환영의 뜻을 밝혔다. ‘서울런’은 취약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강의와 1대1 멘토링을 무료로 제공하는 서울시의 대표 교육복지 사업이다. 특히 이번 시범사업은 아동복지시설인 지역아동센터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간 멘토링과 학습 콘텐츠 개방, 전용 ID를 활용한 학습관리 기능 강화 등을 포함하고 있어 현장의 실질적 수요에 부응하는 조치로 평가받고 있다. 김영옥 위원장은 “교육에서 출발선의 차이는 곧 삶의 격차로 이어진다”라며, “서울런 대상 아동임에도 실제 이용률이 낮았던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이번 시범사업이 추진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며, 실제 교육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김 위원장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농협의 민간 후원이 더해진 이번 사업은 민관 협력의 우수 사례로, 서울시 복지 정책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며, “시범사업 이후 전면적인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