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8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

한국인의 삶의 질...중하위권 수준↓

정부는 오래 전부터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겠다고 기회있을 때마다 강조해 왔다. 국민 소득은 3만달러를 넘어서 선진국 뭍턱을 넘어 설 단계에 이르렀지만 '한국인의 삶의 질'에 대한 공식적인 평가 수준은 개도국 수준에 머물고 있음이 밝혀졌다. 한 때 상위 30% 선에 이르기도 했으나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한국인의 삶의 지표는 개발도상국인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루마니아 보다도 낮은 상태이다. 부동산 폭등에 따른 주거비용과 생활비 증가의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17일, 글로벌 통계 사이트 넘베오(Numbeo)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삶의 질 uality of life)지수는 130,02를 기록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생활비 데이터 베이스를 보유하고 있는 넘베오는 구매력,소득대비 주택가격비율(PIR), 생활비, 오염, 안전 등 여러 분야를 종합해 삶의 질을 지수로 내놓고 있다. 이번 조사 결과 한국 바로 위에는 남아공 (39워)과 루마니아(40위), 프에르토리코(41위)가 있다. 한국은 42위였다. 남아공과 루마니아의 경우 1인당 국민소득으로 보면 각각 한국의 15%와 43% 수준이다. 1~5위권은 스위스,덴마크, 네델란드, 핀란드, 오스트리아 등 유럽 국가들이 차지했다. 국민들의 생활이 그만큼 안정돼 있다는 의미이다. 상대적으로 우리는 1인당 국민소득은 높아졌지 만 평균적 국민들의 삶은 여전히 '불안'과 '계층간 격차' '상대적 빈곤과 불행감'등으로 불안한 상황이라는 뜻이 함축돼 있다. 수없이 집을 짓는데도 '집없는 청년과 신혼부부'들이 오히려 급증하고 생활비 부담이 가중되니 행복을 느낄 겨를이 없다는 증표인 것이다. 생활비 지수란게 있다. 이 지수는 미국 뉴욕시를 100으로 잡고 있다. 이 지수는 낮을 수록 좋은 상황인데 넘비오가 낸 올해의 한국 지수는 81,2로 세계 14위이다. 정확히 말하면 '나쁜 쪽에서 본 14위'라는 의미이다.
배너
배너

‘배출량 프로그램 개발’ 안양시 환경정책과 주무관, 제5회 적극행정 유공 근정포장 영예
[아시아통신] 환경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업무를 수행해 온 안양시 환경정책과 임동희 주무관(환경 7급)이 행정안전부와 인사혁신처가 공동 주관한 ‘제5회 적극행정 유공 정부포상’에서 근정포장을 받는 영예를 안았다. 임 주무관은 수질오염총량제 시행에 따라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배분을 둘러싸고 안양천 권역 5개 지자체 간의 갈등이 지속되자, 산정프로그램을 자체 개발해 3억2000여만원의 예산 절감 효과를 거뒀다. 해당 산정프로그램을 통해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배출량 분석 및 배분이 이뤄질 수 있게 되면서, 지자체들은 오랜 갈등을 끝내고 2021년 12월 안양천 수질관리를 위한 협약을 맺고 상호 협력키로 했다. 이는 배출량을 둘러싸고 전국 여러 지자체가 서로 대립하는 상황에서 최초로 갈등을 해결한 수질오염총량제의 성공적 모델로 평가받았다. 임 주무관은 이 밖에도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비점오염원 관리지역 지정, 물순환 계획수립 등 환경개선에 기여해 안양시 적극행정 우수공무원 2년 연속(2022~2023년) 선발, 범정부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 대통령상(2022년), 경기도 공공갈등관리 혁신 우수사례 경연대회 우수상(2023년) 등을 수상한 바 있다. 최대호 안양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