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회

'세계 1위 억만장자' 아마존 CEO..."팬데믹에 강했다"

코로나 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에서 과연 세계적 억만장자들의 재산 여부는 어떠했을까? 순위는 달라진것이 없을까? 우리와는 별무사항인 것 같으면서도 은근히 관심이 간다. 우선 주요 포인트부터 소개한다면 ▷세계적 억만장자들의 재산은 코로나 19이후 1년 새 50%이상 늘었다는 점 ▷세계 1위 갑부는 1,780억 달러 재산의 아마존 CEO로 바뀌었다는 점 ▷한국인 갑부들의 이름도 여럿 올랐는데 그 중 한국 1위 부자는 141억 달러의 김정주 NXC 라는 것 등이다. 미국싱크탱크정책연구소(IPS)가 지난달 31일(현지시간)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 확산이 본격화한 작년 3월 18일 기준 전세계 억만장자 2,365명이 보유한 재산은 총 8조 400 억 달러였는데 이로부터 1년이 흐른 올 3월 현재, 그들의 재산 총합은 12조 3,900억달러로 무려 4조 3500달러(한화 4,900조원) 이나 불어 났다. 재산 증식률이 54%에 달한 셈이 다. 역시 돈버는 기술이 탁월 한 사람들이다. 그러니까 세계적 억만장자 소릴 듣는다는 생각이 든다. 재산 1위는 제프베이조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로 1년새 57%라는 가공할 만한 재산 증식으로 총 재산 1,780억달러를 보유하고 있다. 프랑스 루이비통 모에헤네시 그룹의 베르나르 아르노 회장과 그의 일가가 보유한 재산은 114% 늘어난 1,626억 달러를 기록하며 2위를 차지했다. 이어, 일론 머스크 테슬러 CEO 1,621억 달러, 빌 게이츠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가 1,265억달러, 마크저거버그 페이스북 CEO 1,017억 달러, 워런버핏 회장이 965억달러 순이다. 조사 대상이 된 한국인은 38명이었는데 이 가운데 한국인 갑부 1위는 김정주 NXC대표로 141억 달러로 세계 144위였다. 이어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138억 달러(150위),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이 97억 달러 (236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84억달러로 287위에 랭크됐다. 이 부회장은 상속분을 포함할 경우 재산은 이 보다 훨씬 늘어난다. 재산이 500% 이상 급증한 갑부들도 13명이나 탄생했는데 그 중에 1위는 3,300%나 재산이 1년 새에 늘어난 중국 생수기업 눙프산 취안의 창업자 중상상회장이었다.
배너
배너


최재란 시의원, 그라운드가 없다…서울 미식축구 해법 찾는다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최재란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과 서울미식축구협회 공동주관으로 서울미식축구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토론의 장을 마련한다. 토론회는 오는 8월 27일(수) 오후 1시 30분, 서울시의회 의원회관 제2대회의실(서소문별관 2동 2층)에서 「전문경기에서 생활체육까지 : 미식축구 활성화 방안 모색」이라는 주제로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미식축구가 지닌 교육적·사회적 가치와 서울시 내 기반시설 부족 문제를 짚어보고, ▲대학·청소년 선수들의 훈련환경 개선, ▲생활체육으로의 확산, ▲서울시 미식축구 전용경기장 건립 필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이동준 서울미식축구협회 전무가 발제를 맡고, 윤호규 고려대 타이거스 지도교수, 강보성 서울대학교 그린테러스 감독, 황태환 성동구미식축구협회장, 차재호 건국대학교 레이징불스 주장, 류상운 연세이글스 대표 등이 토론자로 참여해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전할 예정이다. 최재란 의원은 “미식축구는 전략과 팀워크, 체력과 정신력이 결합된 종합 스포츠로, 청소년에게는 협동심과 리더십을, 성인에게는 생활체육으로서의 활력을 제공할 수 있다”며 “서울시 차원의 정책적 지원을 통해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