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지난해 119구급대가 총 3,967명의 심정지 환자를 응급처치와 동시에 이송했으며, 이 중에서 471명이 병원 전 단계(의료진에 인계되기 전)에서 심장기능이 회복되었다.”라고 밝혔다. 또한 심정지 이송환자에 대한 병원 전 자발순환 회복률도 지난해 11.9%를 달성했다. 이는 ’19년 11.7% 대비 0.2%P 향상된 수치이다. 병원 전 자발순환 회복률은 119구급대의 응급처치를 통해 이송되는 심정지 환자 중 병원 인계 전에 심장기능을 회복하는 비율을 말한다. 최근 3년간 서울시 119구급대 심정지 응급이송인원 현황 (단위 : 명) 구분 합계 2018 2019 2020 심정지 응급이송 인원 12,043 4,101 3,975 3,967 병원 전 자발순환회복된 인원 1,356 420 465 471 병원 전 자발순환회복률 11.3% 10.2% 11.7% 11.9% 전국 평균 병원 전 자발순환회복률 10.8% 10.6% 11.0% 10.8% 출처 : 서울특별시소방재난본부 서울소방 119구급대가 응급이송한 심정지 환자의 병원 전 자발순환회복률은 ’18년 10.2%였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향상되어 ’19년부터는 전국 평균을 상회하고 있다. 그동안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심정지 환자의 소생률을 높이기 위해 전문자격자 채용, 응급처치 직무교육 강화, 특별구급대 운영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왔다. 특별구급대는 서울시내 24개 대가 운영되고 있으며 간호사 또는 응급구조사 1급 자격을 갖춘 대원 중 특별교육 과정을 이수한 대원이 탑승한다. 이 밖에도 신고접수 단계부터 이송까지의 구급활동정보를 평가․환류하여 체계적으로 구급서비스에 대한 품질을 관리하고 있다. 특히 심정지 및 중증외상 관련 구급활동은 응급의학전문의 등 의료전문가가 평가에 참여하고 개선 필요사항은 119구급대 및 의료계에 공유하고 있다. 한편 질병관리청과 소방청이 협력하여 작년에 발표한 ‘급성심장정지 조사 주요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의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08년 3.1%에서 ’18년 37%로 34%p 가량 증가하였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심정지 환자의 경우 4분이 지날 경우 생존율이 10% 미만으로 떨어진다는 연구결과가 있다.”며 “주변에서 심정지 상황을 목격한 경우 신속한 119신고와 심폐소생술 시행, 자동 심장충격기 사용 등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