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0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포토뉴스

솔제니친의 고백


“젊은 날의 성공에 도취되어 나는 실패란 있을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렇기에 나는 무척이나 잔인했다. 엄청난 권력을 가진 나는 살인자였
으며 압제자였다. 가장 악독했던 순간에 나는 좋은 일을 하고 있다고
확신했고 모든 체계적인 논법으로 무장하고 있었다. 그러나 내 안에
있는 선의 작은 움직임을 처음으로 느낀 것은 바로 다 썩어가는 감옥의
지푸라기 위에 누워 있었을 때였다. 점차적으로 나는,선과 악을 구별
하는 선이 지나가는 곳은 나라와 나라 사이도,계층과 계층 사이도,정
파나 정당 사이도 아니고,바로 사람의 마음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나는 내 생애 중에 감옥 생활이 있었던 것에 대해 감사한다.”

찰스 스윈돌 저(著) 김재권 역(譯) 《순전한 믿음의 사람 요셉》
(생명의말씀사, 74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1970년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알렉산더 솔제니친은 『이반 데니소비
치의 하루』와 『수용소 군도』를 통해 스탈린 체제의 소비에트 강제수
용소의 실상을 고발한 러시아의 작가입니다. 그는 악명높은 정치범 강제
노동 수용소에서 8년이라는 세월을 보냈습니다. 그러나 놀랍게도 감옥의
지푸라기 속에서 삶의 진리를 깨달았고, 이렇게 고백했습니다.
“나는 내 생애 중에 감옥 생활이 있었던 것에 대해 감사한다.”

 

 

솔제니친은 감옥의 지푸라기 속에서 삶의 진리와 인간의 존엄성, 그리고
진정한 자유에 대한 깨달음을 얻습니다. 그리고 그 깨달음은 후에 전
세계에 희망과 용기를 전하는 위대한 작품들로 탄생했습니다.
고난은 누구나 피하고 싶은 아픔입니다. 그러나 고난이 없는 인생은 아
무도 없습니다. 고난이 하나님의 은혜를 만나면 꽃이 되고 별이 됩니다.
 

 

“우리가 알거니와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 곧 그의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 (롬8:28)

<강남 비전교회 / 한재욱 목사>

 

 

 

 

 

배너
배너

“서울어린이대공원 동물원 첫 아기 수달 탄생” 서울시설공단, 12일부터 '아기수달 이름 짓기' 온라인 이벤트 개최
[아시아통신] 서울시설공단(이사장 한국영, 이하 ‘공단’)은 광진구 능동 서울어린이대공원 동물원에서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야생동물 1급인 유라시아수달 쌍둥이가 지난 6월 24일 태어났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서울어린이대공원 동물원 역사상 처음 있는 경사다. 유라시아수달은 국내에서 198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과거에는 이북 지방 산간 하천에서 흔히 볼 수 있었지만, 최근 환경 문제 등으로 개체 수가 줄며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됐다. 일본에서는 이미 멸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기 수달을 출산한 부모 수달은 ‘수돌’(수컷)과 ‘달순’(암컷)으로, 2022년 말 대전과 충남 부여에서 생후 1개월도 채 되지 않은 채 발견되어 2024년 6월,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 서울시설공단 서울어린이대공원에 기증된 바 있다. 공단은 수달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자연 서식지에 가까운 생태형 수달사를 조성해 서식 환경을 마련해왔다. 이번 아기 수달 탄생은 체계적인 관리가 뒷받침 된다면 도심형 동물원에서도 멸종위기종의 보전과 생명 탄생이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쌍둥이 아기 수달은 바다동물관 내 수달사에서 어미 ‘달순’의 극진한 보살핌 속에

서울특별시의회 박상혁 교육위원장 「2025 AI‧디지털 러닝 페스티벌 개막식」참석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박상혁 위원장(국민의힘, 서초구 제1선거구)은 8월 7일(목),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2025 AI·디지털 러닝 페스티벌 개막식’에 참석하여 축사를 전하고, 서울교육의 미래를 향한 제도적 지원 의지를 밝혔다. 서울특별시교육청 주관으로 열린 이번 행사는 AI 및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수업 사례를 현직 교사들의 수업 사례 발표와 시연으로 진행되었으며, 초‧중등 교원, 학부모, 교대 및 사범대 재학생 등 다양한 교육 관계자들이 참여해 AI 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체험하는 자리였다. 특히, 행사장에는 총 95개의 운영 부스와 30개의 실습 연수 과정이 마련되었는데, 이를 통해 생성형 AI를 활용한 창의 수업, VR‧AR 기반 실감형 콘텐츠, 음악‧미술 등 예술 교과와의 디지털 융합 수업 등 AI를 활용한 여러 창의적인 교육방법들이 제시되었다. 박상혁 위원장은 축사에서 “현재 교육현장은 AI와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거스를 수 없는 세계적인 교육의 흐름입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우리 아이들이 AI와 디지털 환경에 종속되지 않고, 이를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주체로 성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