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0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포토뉴스

지금 시대에 꼭 필요한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21세기에서 중요한 능력은 바로 창의력입니다. 시에 담긴 공백은 독
자가 채워 넣는 부분이며. 따라서 좋은 시는 독자를 성장하게 만들어
줍니다.”

김태현 편저(編著) 《걸작 문학작품 속 명언 600》(리텍콘텐츠, 241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지금 시대는 답을 외우는 시대가 아니라, 질문을 던지는 시대입니다.
누가 더 많이 아느냐보다, 누가 더 창의적으로 생각하느냐가 중요해진
세상입니다. 그리고 그 창의력은 문학에서, 특히 ‘시’에서 시작될
수 있습니다. 시는 말이 적습니다. 짧고 간결합니다. 하지만 그 안에
담긴 의미는 결코 가볍지 않습니다.

 

 

시는 말하지 않는 것을 말하려는 예술입니다.

은유(隱喩)는 그 중심에 있습니다. 시를 읽으며 우리는
단어 사이의 침묵을 듣고, 은유 속에 숨은 세계를 상상하고, 나 아닌
다른 존재의 마음에 들어가 보는 연습을 합니다. 그것이 곧 ‘생각
하는 힘’입니다. 어쩌면 시는 이렇게 말하는 듯합니다.
“내가 다 말하지 않을게. 너의 생각으로 채워봐.”

 

 

이 요청은 독자를 수동적 존재에서 능동적 창조자로 끌어올립니다.
그래서 좋은 시는 독자를 성장하게 만듭니다. 시인은 하나의 문장을
썼지만, 독자는 그 문장을 읽으며 열 개, 스무 개의 생각을 펼쳐냅니다.
이는 단순한 문학 감상이 아니라, 삶을 바라보는 시각을 훈련하는 일이
기도 합니다.

 

 

영국의 설교가이자 시인인 존던 (John Donne)은 이런 말을 했습니다.
“성경을 쓰실 때 성령은 바른 내용만 아니라 묘미, 조화, 언어의 선
율도 기뻐하셨다. 독자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칠 최고의 은유와 기타 수
사법까지도 기뻐하셨다.”

 

 

하나님은 논리만으로가 아니라 아름다움과 감성, 은유와 상징을 통해
말씀하십니다. 문학은 세상의 언어와 사고방식을 배우는 통로이며, 동
시에 복음을 현대적 언어로 번역하는 힘을 길러줍니다.
 

 

“예수께서 다시 비유로 대답하여 이르시되” (마22:1)

<강남 비전교회 / 한재욱 목사>

 

 

 

배너
배너

“서울어린이대공원 동물원 첫 아기 수달 탄생” 서울시설공단, 12일부터 '아기수달 이름 짓기' 온라인 이벤트 개최
[아시아통신] 서울시설공단(이사장 한국영, 이하 ‘공단’)은 광진구 능동 서울어린이대공원 동물원에서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야생동물 1급인 유라시아수달 쌍둥이가 지난 6월 24일 태어났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서울어린이대공원 동물원 역사상 처음 있는 경사다. 유라시아수달은 국내에서 198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과거에는 이북 지방 산간 하천에서 흔히 볼 수 있었지만, 최근 환경 문제 등으로 개체 수가 줄며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됐다. 일본에서는 이미 멸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기 수달을 출산한 부모 수달은 ‘수돌’(수컷)과 ‘달순’(암컷)으로, 2022년 말 대전과 충남 부여에서 생후 1개월도 채 되지 않은 채 발견되어 2024년 6월,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 서울시설공단 서울어린이대공원에 기증된 바 있다. 공단은 수달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자연 서식지에 가까운 생태형 수달사를 조성해 서식 환경을 마련해왔다. 이번 아기 수달 탄생은 체계적인 관리가 뒷받침 된다면 도심형 동물원에서도 멸종위기종의 보전과 생명 탄생이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쌍둥이 아기 수달은 바다동물관 내 수달사에서 어미 ‘달순’의 극진한 보살핌 속에

서울특별시의회 박상혁 교육위원장 「2025 AI‧디지털 러닝 페스티벌 개막식」참석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박상혁 위원장(국민의힘, 서초구 제1선거구)은 8월 7일(목),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2025 AI·디지털 러닝 페스티벌 개막식’에 참석하여 축사를 전하고, 서울교육의 미래를 향한 제도적 지원 의지를 밝혔다. 서울특별시교육청 주관으로 열린 이번 행사는 AI 및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수업 사례를 현직 교사들의 수업 사례 발표와 시연으로 진행되었으며, 초‧중등 교원, 학부모, 교대 및 사범대 재학생 등 다양한 교육 관계자들이 참여해 AI 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체험하는 자리였다. 특히, 행사장에는 총 95개의 운영 부스와 30개의 실습 연수 과정이 마련되었는데, 이를 통해 생성형 AI를 활용한 창의 수업, VR‧AR 기반 실감형 콘텐츠, 음악‧미술 등 예술 교과와의 디지털 융합 수업 등 AI를 활용한 여러 창의적인 교육방법들이 제시되었다. 박상혁 위원장은 축사에서 “현재 교육현장은 AI와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거스를 수 없는 세계적인 교육의 흐름입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우리 아이들이 AI와 디지털 환경에 종속되지 않고, 이를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주체로 성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