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뉴스

광진구, 어린이보호구역 9200㎡에 미끄럼방지 포장

6월, 어린이보호구역 등 9곳에 미끄럼방지 포장으로 통학안전 챙겨
3억 원 투입, 차량감속 유도 및 시인성 강화로 교통사고 예방
통학로 개선, 시설물 설치 등 광진형 어린이보호구역 정비사업 순항중

[아시아통신]

 

광진구(구청장 김경호)가 등굣길 안전 확보를 위해 어린이보호구역 등 9곳에 미끄럼방지 포장을 완료했다.

 

구에 따르면, 어린이보호구역은 초등학교, 유치원, 어린이집 등 65개소가 있다. 보호구역에는 엘이디표지판, 과속경보시스템, 스마트폴, 무인단속 장비 등 총 931개의 시설물이 설치돼 있다.

 

미끄럼방지 포장은 사고우려가 높은 보호구역에 차량감속을 유도하고 운전자 주의를 환기시켜 교통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이다. 시비 3억 원을 투입해 5~6월에 걸쳐 차질없이 공사를 마쳤다. 광진초등학교, 구의초등학교, 신양초등학교, 정립회관 등 보호구역 9곳에 9200㎡ 면적에 미끄럼방지 포장을 설치했다.

 

어린이보호구역 시설 개선에도 힘썼다. 지난 6월에는 1억 15백만 원을 들여 119곳에 어린이보호구역 기점‧종점 노면을 표시하고 35곳의 횡단보도를 노랗게 색칠했다.

 

민선8기 들어 구는 ‘광진형 어린이보호구역 정비 4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어린이 통학로 안전을 살폈다. 용곡, 동자, 성자, 신자 초등학교 4곳의 통학로 1천220m를 개선했다. 보도 확장, 옐로카펫 설치,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등 보행자 보호를 우선시했다.

 

또한, ▲노란횡단보도 252곳 ▲기종점 노면표시 299곳 ▲엘이디발광형 표지판 52곳 ▲스마트폴 5곳 ▲과속단속카메라 2곳 ▲보행신호 음성안내 보조장치 11곳 등 시설물을 새로 설치했다. 내년까지 연차별로 통학로 개선에 35억 원, 시설물 개선에 31억 원을 투입해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환경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김경호 광진구청장은 “어린이 통학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광진형 어린이보호구역 정비사업은 안전성과 시인성 강화를 핵심으로 교통사고 제로를 목표로 했다. 통학로와 시설물을 함께 개선, 운전자와 어린이 모두 안심하고 거닐 수 있는 교통환경을 만들고 있다.” 라며 “앞으로도 어린이들이 마음 놓고 다닐 수 있는 보행환경을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구는 지난해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제14회 어린이 안전대상에서 대통령상을 받은 데 이어, 올해 6월 재난관리평가에서도 대통령상을 수상해 안전 최우수기관으로 인정받았다.

배너
배너

16년 잠 깨는 세운상가 공원화... 서울도심 재창조할 남북녹지축 조성 시동
[아시아통신] 서울시는 ‘세운지구 도심공원(1단계) 조성 사업’에 대한 실시계획을 2025년 7월 17일 고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실시계획고시는 세운상가군 중 삼풍상가 일대 약 5,670㎡를 공원으로 조성하기 위한 마지막 행정절차로, 시는 보상 절차를 거쳐 2026년 상반기 공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서울 도심의 오랜 숙원이었던 세운상가군 공원화 사업이 16년 만에 본격적인 궤도에 오른다. 2009년 종묘 앞 현대상가 철거 이후 멈춰 섰던 ‘남북녹지축’ 조성 사업의 첫 단추가 다시 꿰어지는 것이다. 이번 사업은 서울시가 2022년 발표한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의 핵심 사업이다. 세운상가군을 단계적으로 철거하고 그 자리에 약 5만㎡의 대규모 도심공원을 조성해, 북악산에서 종묘와 남산을 잇는 도심 녹지축을 완성하고 시민들에게 쾌적한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울시는 지난 2022년 4월, 도심 내 고층 빌딩과 나무숲이 조화를 이루는 ‘녹지생태도심’ 구현을 목표로 고밀 복합개발과 함께 충분한 녹지공간을 확보하는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지난해 6월에는 이 전략을 반영하여 세운지구 내 약 13.6만㎡의 녹지를 단계적으로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