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6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사회

노후원전 논란속에서, 한빛 '원전사고'......고창군 !

-고창군민, 다시 불안-

[아시아통신] 

<바다 멀리 한빛 원전이 보이고 있다.>

 

 

전북 고창군 주민들이 최근 한빛원전 2호기에서 발생한 황산 누출 사고로 인해 크게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 사고 개요

  • 발생일시: 2025년 6월 14일 오후 5시 40분

  • 사고 내용: 한빛 2호기에서 황산 191리터 유출

  • 원인: ‘황산 주입펌프 연결볼트 손상’—노후화로 인한 기기 결함 의심.



-운전 시작: 1987년 6월

  • 설계 수명 만료 예정: 2026년 9월

  • 한수원은 2023년부터 수명 연장을 위한 행정절차를 진행 중이며, 이에 대해 주민 공청회 연기와 갈등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고창군 주민 및 지자체의 우려

  1. 안전 불안 증대

    • 고창군 전체가 반경 30 ㎞ 방사선비상계획구역에 포함돼 있으며, 풍향·해류 특성상 방사선 및 온배수 위험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재정 지원 격차

    • 한빛원전은 고창군이 아닌 영광군에 위치해 ‘지역자원시설세’를 받을 수 없음.

    • 사고 위험은 공유하지만 보상·지원은 제외되는 구조에 주민들의 박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3. 수명 연장 반대 목소리

    • 2024년 고창·영광 농민회를 중심으로 한빛 1·2호기 연장 운전 반대 및 폐쇄 촉구 기자회견이 있었습니다. 

- 추진 중인 대책 및 향후 전망

  • 사고를 계기로 고창군은 안전관리 강화, 인근 지역 포괄 지원, 제도 개선을 적극 요구 중입니다. 

  • 한수원은 기존의 안전 불감증 문제를 인식하고 CCTV 설치, 교육 강화, 절차 개선 등 재발방지 조치를 마련하고 있습니다(한빛 1호기 기준) 

정리

항목 내용
사고 한빛 2호기 황산 191L 누출 (2025.6.14)
원인 노후 설비의 연결볼트 손상
지역 영향 고창군 주민 불안 → 지원 및 안전 강화 요구
배경 설계 수명 임박(2026.9) + 수명 연장 갈등
조치 흐름 기관 → 수명 연장 절차 진행 / 지자체·주민 → 반대 및 안전 대책 요구


- 대책방안

  • 고창군 차원

    • 주민 안전성 평가, 비상 대응 훈련 강화

    • ‘방사선비상계획구역’ 내 재정지원 요청 및 주민 피해 보상 방안 모색

  • 정부·한수원 차원

    • 노후 원전 수명 연장 여부 재검토

    • 인근 주민을 위한 교육·피해보상 제도 마련

    • 노후 기자재 정밀 점검 및 교체 추진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