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포토뉴스

안개 때문에


“플로렌스 채드윅 (Florence Chadwick). 1950년 프랑스에서 영국까지
32km에 이르는 영국해협을 13시간 20분 만에 수영하여 건너 당시 최고
기록을 세웠고, 1951년에는 16시간 22분 만에 영국에서 프랑스로 수영
하여 영국 해협을 양방향으로 횡단한 세계 최초의 여성이다(중략).
1년이 지난 후 또 하나의 불가능에 도전했다. 1952년 7월 4일, 그녀는
미국 캘리포니아의 카탈리나 섬에서 롱비치까지 장장 34km가 넘는 거친
물결을 헤엄치기 시작했다. 이 역시 여성으로서는 최초이다. 거침없이
팔과 다리를 젓기를 16시간, 그녀는 슬슬 지쳤고 얼음같이 차가운 바닷
물은 몸을 강하게 압박했다. 당시 수백만 명의 시청자들이 응원했고 그
녀의 곁에서는 어머니와 트레이너가 안내선에서 목표가 얼마 남지 않았
으니 포기하지 말라고 격려했다. 하지만 결국 그녀는 견디지 못하고 포
기했다.”

고영성 저(著) 《누구나 처음엔 걷지도 못했다》 (스마트북스, 16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안타까운 사실은 목표까지 겨우 800m밖에 남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어느 기자가 물었습니다. “왜 실패했다고 생각하십니까?”
“추위 때문도 아니고,피곤함 때문도 아니고, 안개 때문에 실패했습니
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안개 때문에 목표를 볼 수가 없었기 때문에 실
패했습니다. 목표 지점을 볼 수 있었다면 도착했었을 것입니다.”
채드윅은 두 달 뒤에 다시 도전했습니다. 공교롭게도 그날,안개가 더
짙었습니다. 물도 너무 차가웠습니다. 하지만 13시간 47분이라는 엄청난
기록으로 카탈리나 섬에서 롱 비치까지 횡단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
기록은 남자 기록을 2시간이나 단축한 대단한 것이었습니다.
기자들이 또 물었습니다. “이번에는 어떻게 성공할 수가 있었습니까?”
“이번에는 제가 마음속으로 목표 지점을 보고 있었기 때문에 끝까지
헤엄칠 수 있었습니다.”
 

 

베트남 전쟁 당시 한국군과 미군이 제일 힘들었던 것이 있었다고 합니
다. 바로 누가 베트공이고 누가 민간인인지 구별을 할 수 없었다는 것
입니다. 민간인으로 보였던 사람이 갑자기 총을 쏘거나 폭탄을 안고
달려 들던가 하였다는 겁니다. 적이 보이면 잘 싸울 수 있습니다. 그
러나 적이 보이지 않으면 허공과 싸우는 듯합니다. 마찬가지입니다.
삶의 비전이 있는 사람은 그 비전을 향해 달려 갑니다. 비전이 없는 사
람은 그저 살아갈 뿐입니다.  
 

 

“푯대를 향하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이 위에서 부르신 부름의
상을 위하여 달려가노라.” (빌3:14)

<강남 비전교회 / 한재욱 목사>

 

 

 

 

 

배너
배너

하남시, '2025년 공공서비스디자인 우수과제' 행안부장관상... 3년 연속 수상 쾌거
[아시아통신] 하남시가 행정안전부가 주최한 2025년 공공서비스디자인 우수과제 성과공유대회에서 우수사례로 선정돼 행정안전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하남시는 2023년 '감일건강생활지원센터 시민참여형 프로그램', 2024년 '신장1동 치매안심마을 정책 모델링'에 이어 올해 '단단한 하남 정서연대 프로젝트'로 다시 한 번 수상의 영예를 안으며, 3년 연속 우수과제로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업은 행정·전문가·시민이 함께 참여해 현장의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책을 설계하는 국민참여형 정책모델이다. 수요자 중심으로 정책을 기획해 실제 이용자가 체감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를 만드는 데 목적이 있다. 올해 하남시의 우수과제인 '단단한 하남 정서연대 프로젝트'는 장애인가족 지원정책의 사각지대에 있던 ‘장애인 아버지와 비장애인 형제자매’를 위한 정서지원 모델을 구축한 것이 특징이다. 발달장애인 가족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소외됐던 이들의 목소리를 직접 반영해 맞춤형 돌봄 생태계를 설계했다. 프로젝트 과정에서는 ▲정서치유 프로그램 ‘단하남 토토즐’ ▲부모 멘토링 ‘길잡이 부모’ 양성 ▲민·관·학이 함께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