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새우잠을 자더라도 고래 꿈을

 

 

세123(작).jpg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물과 꽃의 정원 세미원(연꽃)">  김광부 기자

 

푸른 바다에 고래가 없으면 / 푸른 바다가 아니지 /

마음속에 / 푸른 바다의 고래 한 마리 키우지 않으면 / 청년이 아니지

/ 푸른 바다가 / 고래를 위하여 푸르다는 걸 아직 모르는 사람은 /

아직 사랑을 모르지 / 고래도 가끔 수평선 위로 치솟아올라

/ 별을 본다

 

정호승님의 시 「고래를 위하여」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푸른 바다, 고래, 청년, 사랑, 별, ...

 

세125(작).jpg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물과 꽃의 정원 세미원(연꽃)">  김광부 기자

 

말만 들어도 눈록색 느낌표가 톡하고 튑니다.

새우잠을 자더라도 고래 꿈을 꾸라는 말이 있습니다.

시인은 푸른 바다에 고래가 없으면 푸른 바다가 아니라고 합니다.

이 말은 이렇게 바꿀 수 있습니다.

“젊은이에게 꿈이 없으면 젊은이가 아니지”

청년은 푸르고 푸른 바다의 고래가 되어야 합니다.

 

세52(작).jpg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물과 꽃의 정원 세미원(연꽃)">  김광부 기자

 

달팽이도 꿈이 있으면 바다를 건넌다는 말이 있습니다. 달팽이도 꿈이

있었기에 인내하며 노아의 방주에 다다를 수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푸른 바다를 나는 고래를 키우는 꿈이 청년만 있을까요.

새끼고래도, 어미고래도, 늙은 고래도 아픈고래도 모두 가슴에 꿈 하나

간직하고 별들을 바라봅니다. 별을 꿈꾸는 고래가 되고 싶습니다.

하나님은 꿈꾸는 고래가 되는 법을 가르쳐 주십니다.

 

세54(작).jpg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물과 꽃의 정원 세미원(연꽃)">  김광부 기자

 

“하나님이 말씀하시기를 말세에 내가 내 영을 모든 육체에 부어 주리니

너희의 자녀들은 예언할 것이요 너희의 젊은이들은 환상을 보고 너희의

늙은이들은 꿈을 꾸리라.” (행2:17)

<경건 메일/ 한재욱 목사>

 

세57(작).jpg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물과 꽃의 정원 세미원(연꽃)">  김광부 기자

 

세71(작).jpg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물과 꽃의 정원 세미원(연꽃)">  김광부 기자

 

세72(작).jpg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물과 꽃의 정원 세미원(연꽃)">  김광부 기자

 

세74(작).jpg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물과 꽃의 정원 세미원(연꽃)">  김광부 기자

 

배너
배너


김영옥 보건복지위원장, 『지역아동센터 중학생 위한‘서울런’지원』추진 적극 환영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옥 위원장(국민의힘, 광진3)은 서울시가 오는 7월부터 지역아동센터 중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서울런’ 시범사업과 향후 사업 확대 계획에 대해 “교육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매우 의미 있는 정책”이라며 적극 환영의 뜻을 밝혔다. ‘서울런’은 취약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강의와 1대1 멘토링을 무료로 제공하는 서울시의 대표 교육복지 사업이다. 특히 이번 시범사업은 아동복지시설인 지역아동센터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간 멘토링과 학습 콘텐츠 개방, 전용 ID를 활용한 학습관리 기능 강화 등을 포함하고 있어 현장의 실질적 수요에 부응하는 조치로 평가받고 있다. 김영옥 위원장은 “교육에서 출발선의 차이는 곧 삶의 격차로 이어진다”라며, “서울런 대상 아동임에도 실제 이용률이 낮았던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이번 시범사업이 추진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며, 실제 교육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김 위원장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농협의 민간 후원이 더해진 이번 사업은 민관 협력의 우수 사례로, 서울시 복지 정책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며, “시범사업 이후 전면적인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