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50년대는 중산층의 황금기였다. 미국인들에게 미국이 최고 시절을
구가한 때가 언제였느냐고 물어보면, 1950년대는 거의 항상 상위권에
있다(중략). 나와 주변 사람 대다수의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았기 때
문이다.”
모건 하우절 저(著) 이수경 역(譯) 《불변의 법칙》
(서삼삼독, 67-72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미국인들은 1950년대에 대한 향수가 많습니다. 객관적인 수치로 보면
현대가 더욱 풍요롭습니다.
“1950년에 주택 보유 비율은 오늘날보다 12퍼센트포인트 낮았다. 당
시의 평균적인 주택은 요즘 주택보다 3분의 1 더 작았다. 그럼에도 그
안에 사는 식구 수는 더 많았다. 1950년 평균 가계 예산에서 식비가 차
지하는 비율은 29퍼센트였고 오늘날은 13퍼센트다.” (69쪽)

그런데도 1950년대를 그리워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당시는 기대치가 쉽게 높아지지 않는 시대였다. 주변에 나보다 훨씬
더 잘사는 사람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전부는 아닐지라도 대다수 미
국인이 풍족한 삶을 살았을 뿐 아니라, 자신과 주변 이들을 비교해도 그
풍족함의 수준이 비슷했다(중략). 따라서 오늘날과 비교할 때 상대적
으로 소득은 더 적었지만 사람들은 만족했다. 남들도 역시 그만큼 벌
었기 때문이다.” (72-73쪽)

작은 나라 부탄은 가난하지만 행복지수가 높은 나라였습니다. 그런데
유엔 산하 ‘지속가능발전네트워크’의 ‘2018년 세계행복 보고서’에서
부탄의 순위는 95위였습니다. 부탄에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다른 나라와
비교하기 시작하면서 행복 지수가 급락한 것입니다.
남과 나를 비교하면 내 삶의 주인은 ‘남’이 되어 갑니다.
비교할 비比자는 비수 비匕 자 두 개를 합쳐 이루어진 단어입니다.
비比 자는 두 개의 칼이 타인과 자신을 해칩니다. 비교하는 사람은 칼을
품고 사는 사람입니다.
사울왕은 자신의 스팩과 골리앗의 스팩을 비교하며 꼼짝도 못하고 있었
습니다. 다윗은 달랐습니다. 분명 골리앗과 싸우는 다윗의 손에는 칼이
없었습니다. “자기 손에는 칼이 없었더라.” (삼상17:50b)
다윗이 골리앗과 자신의 스팩만을 비교했다면 주저 앉았을 것입니다.
다윗은 하나님을 바라봤습니다. 그리고 자신에게 주신 물맷돌을 던지며
승리했습니다.

“다윗이 블레셋 사람에게 이르되 너는 칼과 창과 단창으로 내게 나아 오거
니와 나는 만군의 여호와의 이름 곧 네가 모욕하는 이스라엘 군대의 하나님의
이름으로 네게 나아가노라.” (삼상17:45)
<강남 비전교회 / 한재욱 목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