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운임이 천정부지로 치켜 오르고 있다. 수출업체들의 목줄을 바싹 죄고 있다. 업계에선 최근의 상황을 코로나 19 이후이 빚어지고 있는 '제2의 화물대란'이란 비감 한 표현까지 튀어나오고 있다. 이같은 상황이 언제까지 이어질런지 현재로선 예측불허이다. 3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대표적 글로벌 컨테이너선(船)운임지수인 상하이 컨테이너선운임지수(SCFI)는 지난달 30일 3100,74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2009년 10월 집계 시작이래 지수가 3,000선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CFI는 산출시작일(2009년 10월 16일)을 '1,000'으로 설정하여 운임지수를 산출하는데 올 1월 최고치를 기록한 뒤 내림세를 보이다가 4월 들면서 상황이 완전히 돌변, 한달 새 무려 20,6%나 뛰어 오르며 최고치를 갈아 엎어 버린 것이다. 국내 수출기업이 주로 사용하는 미주와 유럽항로 운임은 연일 최고치를 뒤짚고 있는 중이다. 미주동부 해안 항로운임은 1 FEU(40피트 컨테이너 1개) 당 6,419달러, 서부해안운임은 5,023달러를 기록했다. 두 노선 모두 역대 최고치이다. 상승세가 가파르다. 미주동부해 안 운임은 불과 1주일 새 12,9%나 뛰었다. 유럽지
지난달 우리나라 수출은 작년 4월보다 41,1% 증가하며 10년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갈아치웠다. 다만 이 같은 숫치가 코로나19의 기승으로 국내외 경제여건이 극도로 악화됐던 작년 4월 달의 '수출 격감'과 비교한 기저효과의 영향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지나치게 흥분하기는 다소 이른 느낌도 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4월 수출액이 작년 동기 대비 41,1% 증가한 511억 9,00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11년 1월 이후 최대 상승치이다. 수출액은 2개월 연속 500억달러선을 넘어서며 역대 4월 실적 중 최대를 기록했다. 월별 수출은 지난해 11월 3,9% →12월 12,4% →올 1월 11,4% →2월 9,2% → 3월 16,5% 에 이어 이 달 중 41,1% 상승했다. 올 1~4월 누적 수출액은 1,977억달러로 역대 같은 기간 최대치를 바꾸어 놓았다. 기저효과가 있었다 해도 그 영향이 미미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15대 주력 수출 품목 가운데 무려 13개 품목에 걸쳐 고르게 모두 두 자릿수 이상의 증가세를 보였다. 반도체는 30,2% 증가하며 10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 갔고 차량용 반도체 부품 부족 가운데서도 자동차 수출은 73,4%나 늘
서울시는 2021년 4월 29일 제3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수권소위원회를 개최하여 서초구 양재동 224번지(KCTC 부지)에 대하여 R&D 데이터센터 건립을 위한 양재택지 지구단위계획 변경안(특별계획구역 지정 및 세부개발계획 결정)을 “수정가결” 하였다고 밝혔다. 대상지가 위치한 양재 유통업무설비 지역은, 서울시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하여 양재·우면 일대를 ‘R&D 혁신거점’으로 조성하기 위해 ‘16.8월 발표한「양재 Tech+City 조성계획」에 따라 도시계획시설인 유통업무설비를 해제하고 복합개발을 통해 R&D 연구공간 및 지원시설을 확보하는 것으로 市 R&D 지침(양재유통업무설비 개발 지침)이 수립되어 있는 지역이다. <위치도> 금번 양재택지 지구단위계획 변경은 이러한 서울시 R&D 정책에 부응하면서, AI·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필수 기반시설로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데이터센터와 관련 R&D 업무시설 건립을 위한 것으로 주민제안에 따라 추진되었다.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표하는 AI 기술의 발전과 혁신을 위해서는 양질의 데이터 획득과 가공,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지난해 코로나 19의 여파로부진했던 아모레퍼시픽이 재도약할 날개짓이 한창이다. 증권업계는 중국시장의 매출상승이 가파라지고 있는 등 긍정적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30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대비 189,2% 증가한 1,762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매출과 순이익은 각각 1조2,528억원, 1,376억원으로 10,5%, 105,5% 증가했다.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개선될 수 있었던 것은 유통채널의 효율화에 기인한다. 특히 매출 부 문에서는 중국시장의 매출 급신장이 긍정적인 부분이다. 중국 설화수 매출액이 코로나 확산 이전인 2019년 1분기 보다도 60%이상 증가했다. 그동안 중국에서는 이니스프리, 마몽드, 국내에서는 아리따움, 방문판매 부진이 큰 부담이었으 나 올해는 중국과 한국에서의 온라인 매출이 모두 30% 이상 상승햇다.
지난 달 제조업 생산은 줄었지만 서비스업종의 생산이 늘면서 전체 산업 생산률을 두달 연속 상승세로 이끌었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 제한 완화로 요식및 숙박업의 생산이 상당히 빠르게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산업생산지수는 112,6(2015년=100)으로 전월보다 0,8% 증가했다. 산업생산은 1월 -0,5%에서 2월 2,1%로 반등한 뒤 3월까지 두 달째 증가했다. 다만 산업생산 중 제조업생산은 0,8% 감소했다. 제조업 생산 감소로 관공업 생산도 0,8% 줄었다. 자동차 생산이 -4,8% 로 내려 앉았고 기계장비도 -,3,0% 격감했다. 다만 D램, 플래시메모리 등 반도체가 4,3% 상승하며 호조를 이어갔다. 반면, 서비스업 생산은 1,2%늘어 전월의 1,1%에 이어 두달 연속 증가했다. 특히 영업제한 등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완화되면서 숙박 및 음식업생산이 무려 8,1%나 뛰어 올랐 다. 여객화물 운송증가에 운수*창고업도 플러스 기류를 탔다. 반대로 금융, 보험업 등의 생산은 주식거래가 주춤한 영향으로 3,1% 줄었다.
네이버가 올 1분기 중 신사업의 호조 속에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이익 감소는 신사업 구축에 필요한 초기 신규 운영 비용의 증가에 따른 것으로 풀이 된다. 네이버는 30일,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 4,991얻원에 영업이익 2,888억원을 올렸다 고 밝혔다. 지난 해 동기대비 매출은 29,8%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1% 감소한 수치이다. 네이버는 커머스, 핀테크, 콘텐츠, 클라우드 등 신사업부문 매출이 크게 늘었다. 하지만 주식보상비용 등으로 영업비용이 증가했다. 네이버는 사세 확장과 외형 확대 등의 목표로 앞으로 3년 간 전 직원들에게 1인당 자사주 1,000만원 상당을 배정해 주기로 결정하는 등 복지지원을 약속한 바 있다. 신규 사업 중 서 치플랫폼의 경우 지난해 동기 대비 16,8% 증가한 7,527억원의 매출을 기록, 주목 받고 있다.
정부가 올해 1분기 중 중앙재정의 35%이상을 조기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1차 추경예산 중 신속한 집행을 필요로 하는 현금지원 사업에 66%를 집행한 것으로 밝혀졌다. 3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재정별로는 중앙재정은 관리대상 예산 343조 7,000억원 중 122조 6,000억원을 집행 35,7%를 1분기에 썼다. 이는 작년 1분기의 집행률보다 0,4%p 빠른 속 도이다. 앞서 정부는 상반기 재정 집행 목표를 중앙 63,0%, 지방 60%를 제시했다. 지방재정과 지방교육재정은 71조 3,000억원과 7조 8,000억원으로 각각 29,3%와 40,9%의 집행률 을 보였다. 그외 사회간접자본(SOC)이 37,5%, 생활 SOC34,4% 등이다. 한국판 뉴딜의 경우 1분기 총 7조 6,000억원 36,1%가 집행됐다. 1차 추경 중 소상공인 버팀목플러스, 긴급고용안정지원금 등 현금지원 사업은 추경이 확정된 지 한달여 만에 337만명에게 4조8,000억원이 지급, 65,8%의 지급률을 보였다.
정말 우리 경제와 경이가 좋아지는 것인가? 여기 저기서 좋다는 말들이 쏟아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국은행이 29일 수출호조와 소비회복에 힘입어 기업들이 보고 느끼는 체감 경기가 계속 좋아지고 있다는 자료를 내 놓았다. 한국은행이 이날, 발표한 '4월 중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모든 산업을 반영한 업황 실적 BSI는 88로 3월의 83보다 5포인트(p) 높아졌다. BSI는 현재 경영상황에 대한 기업가의 판단과 전망을 조사한 통계로 부정적 응답이 긍정적 응답보다 많으면 지수가 100을 밑돈다. 이 달 조사는 지난 14일부터 21일 까지 3,255개 법인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고 이 가운데 2,816개 기업이 설문에 답했다. 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업항 BSI는 3월에 이어 두 달 연속 올랐고 2011년 6월의 88이후 약 1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특히, 제조업 업황 BSI가 89에서 96으로 한달 새 7p나 뛰었고 서비스업 등 비제조업도 77에서 82로 5p 상승했다. 제조업 세부업종 중에서는 스포츠용품 판매 증가로 기타 제조업이 17p 상승했다. 이 밖에 화장품 등 화학물질및 제품이 13p, 펄프및 종이
LG화학이 지난 1분기에 약 1조 4,000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분기 기준 영업이익이 1조원대를 넘어선 것은 창사 이래 처음이다. 시장 예상치 1조 원을 크게 뛰어넘는 '깜짝실적' 어닝서프라이즈이다. 주력사업인 석유화학과 자동차 배터리 사업실적이 모두 기대보다 훨씬 좋았다. LG화학은 올 1분기 매출 9조6,500억원에 영업이익1조 4,081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발혔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이다. 이간은 어닝서 프라이즈는 석유화학 사업이 날개를 달았기 때문이다. 전체 영업이익의 70%인 9,838억원이 석유화학 쪽에서 발생했다. 미국 텍사스지역 강타한 '북 극한파'로 이 지역의 석유단지들이 가동을 멈추면서 반사적으로 LG화학의 주력 제품들의 매출이 급증한 것이다. 여기에 LG화학 100% 자회사인 LG에 너지솔루션의 배터리 사업이 사상 최대 실적을 올리면서 큰 힘을 보탰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28일, 올해 1차 스케일업 금융참여기업을 모집한 결과 207개사가 신청했다고 밝혔다. 스케일업금융은 중소기업들이 발행한 회사채의 흐름을 기초로 '자산유동화 증권자금'을 발행한 뒤 기관투자자에게 매각해 필요한 자금을 변통하도록 하는 지원사업이다. 이번에 중 소벤처기업들이 신청한 회사채 발행규모는 8,994억원으로 중진공은 이 중 2,700억원 규모의 자산유동화 증권을 발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한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자금지원은 6월 말에 이루어 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