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0 (수)

  • 구름많음동두천 31.2℃
  • 구름많음강릉 30.1℃
  • 구름많음서울 33.4℃
  • 구름조금대전 33.1℃
  • 구름조금대구 31.8℃
  • 구름조금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1.5℃
  • 맑음부산 31.8℃
  • 맑음고창 33.2℃
  • 구름많음제주 30.4℃
  • 구름많음강화 30.5℃
  • 맑음보은 30.3℃
  • 맑음금산 31.1℃
  • 맑음강진군 31.7℃
  • 구름조금경주시 32.5℃
  • 맑음거제 29.8℃
기상청 제공

사회

귀농*귀촌 인구 늘었다...팍팍해진 경제 탓?

지난해 귀농* 귀촌 인구는 49만 4,569명으로 전년보다 7,4% 늘었다. 2017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다가 반등하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24일 농림축산부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인구는 1만 7,447명이었다. 귀농인이라함은 동지역에서 읍면으로 이사한 후 농사를 짓는 사람을 말한다. 2016년에는 한해 귀농인구가 2만명을 넘기도 했으나 감소세를 보이다가 지난해부터 다시 불어나고 있다. 도시 생활이 적성에 맞지 않거나 팍팍한 삶 때문에 고향 등으로 되돌아가는 '유턴' 청장년들이 증가한 영향릴 수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경제성장률이 낮은 시기에 귀농이 증가하는 경향이 잇다"며 "코로나 사태 등으로 저밀도 삶을 바라는 추세도 가세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귀촌인은 47만 7,122면이었다. 전년보다 7,3% 늘었다. 귀촌이라함은 읍면 지역으로 이사를 가기는 했지만 농사를 짓지 않는 사람들을 말한다. 귀농가구의 74,7%는 1인 가구였다. 특이한 사항은 귀촌인의 절반 가까운 47,9%가 30대 이하인 것으로 나나난 점이다. 유산을 많이 받아 평생 먹고 살 염려가없는 30대일까? 아니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집값이 천정부지로 뛰어 오르는 바람에 멀더라도 직장등엘 승용차로 출퇴근하는 젊은 이들이 늘었는 이유일까? 그런데 통상은 이런 부류의 젊은 이들을 위는 '귀촌인'이라고 부르지 안찮은가? 다소 헷갈리는 부분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귀촌가구의 주요 전입사유는 직업(34,4%), 주택(26,5%), 건강 4,8%, 교육 2,0%였다. 주택문제 때문이라는 비율이 26,5%를 차지하고 있음으로 볼 때 지하철 망이 잘 다져졌기 때문에 주거 문제를 원거리로 잡는 젊은 세대들이 많아진 때문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다. 그렇다면 '귀촌'이라는 호칭을 바꿔야지?
배너
배너


시도지사협의회의 ‘KBS 이사 지역대표 보장’ 요구 관련 과방위원장 입장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가 회장인 유정복 인천시장의 주도로 방송법 개정과 관련해 '지역 목소리를 반영할 지역 대표를 포함해야 한다'며 공동성명서를 준비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와 관련해 과방위원장으로서 입장을 밝힙니다. 첫째, 8월 1일 법사위, 8월 4일 본회의 상정을 앞둔 이때 방송법 개정안에 대해 체계자구수정 범위를 넘는 수정은 동의할 수 없습니다. 지금은 이미 마련된 방송법 개정안의 통과가 최우선 과제입니다. 둘째, 현행법에 비해 개정안은 지역성을 획기적으로 강화했습니다. 1) 현행법에서는 이사 추천시 '각 분야의 대표성'만 고려하도록 한 것을 개정안은 '방송에 관한 전문성, 지역성 및 사회 각 분야 대표성'을 함께 고려하도록 명시하였습니다. 2) 따라서 각 추천주체가 방송전문성과 지역성, 대표성을 고려하여 자격에 부합하는 이사를 추천해야 합니다. 여러명을 추천하는 추천주체는 당연히 지역성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무엇보다 개정안에서는 각 추천주체들에게 '이사 추천 기준'과 '추천 이유' 등을 마련해 공개하도록 했습니다. 즉 각 추천주체들이 전문성, 지역성, 대표성을 어떻게 고려했는지 평가받을 수 있게 했습니다. 3) 특히 국회에서 6명을 추천하는데 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