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포토뉴스

칼을 품고 사는 사람들


“1950년대는 중산층의 황금기였다. 미국인들에게 미국이 최고 시절을
구가한 때가 언제였느냐고 물어보면, 1950년대는 거의 항상 상위권에
있다(중략). 나와 주변 사람 대다수의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았기 때
문이다.”

모건 하우절 저(著) 이수경 역(譯) 《불변의 법칙》
(서삼삼독, 67-72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미국인들은 1950년대에 대한 향수가 많습니다. 객관적인 수치로 보면
현대가 더욱 풍요롭습니다.
“1950년에 주택 보유 비율은 오늘날보다 12퍼센트포인트 낮았다. 당
시의 평균적인 주택은 요즘 주택보다 3분의 1 더 작았다. 그럼에도 그
안에 사는 식구 수는 더 많았다. 1950년 평균 가계 예산에서 식비가 차
지하는 비율은 29퍼센트였고 오늘날은 13퍼센트다.” (69쪽)

 

 

그런데도 1950년대를 그리워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당시는 기대치가 쉽게 높아지지 않는 시대였다. 주변에 나보다 훨씬
더 잘사는 사람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전부는 아닐지라도 대다수 미
국인이 풍족한 삶을 살았을 뿐 아니라, 자신과 주변 이들을 비교해도 그
풍족함의 수준이 비슷했다(중략). 따라서 오늘날과 비교할 때 상대적
으로 소득은 더 적었지만 사람들은 만족했다. 남들도 역시 그만큼 벌
었기 때문이다.” (72-73쪽)

 

 

작은 나라 부탄은 가난하지만 행복지수가 높은 나라였습니다. 그런데
유엔 산하 ‘지속가능발전네트워크’의 ‘2018년 세계행복 보고서’에서
부탄의 순위는 95위였습니다. 부탄에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다른 나라와
비교하기 시작하면서 행복 지수가 급락한 것입니다.
남과 나를 비교하면 내 삶의 주인은 ‘남’이 되어 갑니다.
비교할 비比자는 비수 비匕 자 두 개를 합쳐 이루어진 단어입니다.  
비比 자는 두 개의 칼이 타인과 자신을 해칩니다. 비교하는 사람은 칼을
품고 사는 사람입니다.

 

 

사울왕은 자신의 스팩과 골리앗의 스팩을 비교하며 꼼짝도 못하고 있었
습니다. 다윗은 달랐습니다. 분명 골리앗과 싸우는 다윗의 손에는 칼이
없었습니다. “자기 손에는 칼이 없었더라.” (삼상17:50b)
다윗이 골리앗과 자신의 스팩만을 비교했다면 주저 앉았을 것입니다.
다윗은 하나님을 바라봤습니다. 그리고 자신에게 주신 물맷돌을 던지며
승리했습니다.
 

 

“다윗이 블레셋 사람에게 이르되 너는 칼과 창과 단창으로 내게 나아 오거
니와 나는 만군의 여호와의 이름 곧 네가 모욕하는 이스라엘 군대의 하나님의
이름으로 네게 나아가노라.” (삼상17:45)

<강남 비전교회 / 한재욱 목사>

 

 

배너
배너


서울특별시의회 박상혁 교육위원장 「학부모와 함께 하는 미래교육 이야기마당」참석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박상혁 위원장(국민의힘, 서초구 제1선거구)은 8월 14일(목), 건국대학교 신공학관에서 진행된 '학부모와 함께 하는 미래교육 이야기마당'에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또한, 12주간의 '서울학부모배움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친 학부모들을 축하하면서 학부모들과 서울 교육의 미래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서울특별시교육청 주관으로 개최된 이번 행사는 박상혁 교육위원장을 비롯하여, '서울학부모배움과정'을 수료한 학부모, 정근식 서울시교육감, 황철규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부위원장이 참석했다. 박 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AI·디지털 기술 발전은 거스를 수 없는 세계적인 교육의 흐름"이라 강조하며, "우리 아이들이 AI와 디지털 환경에 종속되지 않고, 이를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주체로 성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AI·디지털 도구들은 교사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와 학생을 연결하는 새로운 다리 역할을 한다"며, 교육의 본질은 여전히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에 있음을 강조했다. 이후 순서로 AI·디지털 기반 교육 정책 안내와 함께, 디벗(디지털 기기 보급사업)을 활용한 수업 체험, 그리고 학부모 간담회가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