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6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뉴스

글로벌 스마트도시 강남구와 함께할 혁신 기업 모집

제3회 ‘강남 디지털을 품다’ 개최… 안전·교통·복지·환경 등 스마트도시 구축에 함께할 기업 모집
7일~28일 접수, 최종 8개 기업 선정… 최대 2천만 원의 실증 보조금·전시회 참가 등 지원

[아시아통신]

 

꿈이 모이는 도시, 미래를 그리는 강남구(구청장 조성명)가 한국무역협회와 함께 민관협력 오픈 이노베이션 제3회 ‘강남 디지털을 품다’를 추진, 2월 7일부터 28일까지 참가 기업을 모집한다.

 

‘강남 디지털을 품다’는 기업의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스마트 기술을 발굴하고, 강남구에서 실증 기회를 제공해 실제 행정에 도입하는 사업이다. 안전, 교통, 복지, 환경 등 주민 생활과 관련된 모든 분야에 최신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스마트도시를 구축하고 생활 편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는 2023년부터 민간기업이 주도하는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 개념을 선제적으로 행정에 도입해 ▲침수 범람 모니터링 시스템 ▲스마트 공영주차장 시스템 ▲스쿨존 보행 안전 시스템 등 AI를 기반으로 한 기술을 실생활에 실증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구는 2023년 바르셀로나 ‘월드 스마트 시티 어워즈’(World Smart City Awards)에서 최우수 도시로 선정됐고, 2024년에는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 어워즈(WSCE Awards)’에서 국내 우수 도시로 선정되며 스마트도시의 위상을 공고히 했다.

 

올해도 다양한 기업과 협업하기 위해 공모사업을 이어간다. ▲행정·민원 ▲안전·재난 ▲교통 ▲복지·생활 ▲에너지·환경 ▲관광 등 행정 전 분야에 도입할 수 있는 스마트 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진 기업을 모집하고 최종 8개 기업을 선정할 계획이다.

 

최종 선정 기업에게는 최대 2천만 원의 실증 보조금과 함께, 행정 실증 기회, 유관기관 협의 지원, 전시회 참가 등 홍보·마케팅 기회가 제공된다.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2월 28일까지 이노브랜치(innobranch.com)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무역협회(☎02-6000-5849)로 문의하면 된다.

 

조성명 강남구청장은 “우수한 도시 인프라를 지닌 강남구는 기업들에게 각광받는 테스트베드다”라며 “혁신 기술을 가진 기업들이 강남구와 함께 글로벌 스마트도시 모델을 만들어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최호정 의장, 비슈케크시의회 대표단과 교류협력 논의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최호정 의장은 5월 14일(수)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시의회 의장 벡잔 우세날리예프 의장 등 대표단을 공식 환영하며, 두 도시 간의 우호와 지속 가능한 교류 협력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최호정 의장은 키르기스스탄은 중앙아시아와 유럽, 중국을 연결하는 관문이자 요충지로, 풍부한 자원과 유능한 젊은 인재가 많은 나라임을 강조하며 양 도시의 교류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최 의장은 또 “서울과 비슈케크는 모두 양국의 수도라는 공통점이 있다”며“수도라는 입장에서 도시 발전, 교통, 주택, 환경 등의 공통 과제를 안고 있어 서로의 경험을 나누고 함께 고민할 수 있는 점이 많다”고 말했다. 벡잔 우세날리예프 비슈케크시의회 의장은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도시 서울을 방문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오늘 만남이 양측의 협력의 중요한 여정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화답했다. 최 의장은 이번 방문을 계기로 두 도시의 교류가 이식쿨 호수처럼 깊고 아름답게 이어지길 바란다는 인사를 전했다. ※ 이식쿨 호수는 키르기스스탄에서 단순한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넘어 민족의 상징이자 삶의 터전, 문화적·정신적 자부심의 원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