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교육

2023 AI‧디지털 교육 컨퍼런스 개최

2024년 인공지능(AI)·디지털 교육의 방향을 ‘보편·포용 교육의 공동실천’으로 제시

22.jpg

출처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감 조희연)‘2024년 인공지능(AI)·디지털 교육의 방향을 보편·포용 교육의 공동실천으로 제시하면서, 1216() 고려대학교(성북구 안암로)에서 2023AI디지털 교육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이번 컨퍼런스는 세계적인 흐름이기도 한 보편포용 교육을 2024년 인공지능(AI)디지털 교육의 방향으로 선언하고, 교육 주체(고등학교 교사, 학교경영자, 교육전문직, 학부모)1,024명이 한자리에 모여서 공동실천을 결의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특히, 공동실천 방향과 내용·프로그램 등 내용 구성과 준비 과정을학교 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현장 준비위원(고등학교 교사, 학교경영자)과 전문가 그룹 등이 함께 준비하면서 현장의 목소리가바로 반영되고 직접 참여를 통해 교원의 자기주도 역량이 강화되도록 컨퍼런스가 계획되었다.

 

 

     2023 AI디지털 교육 컨퍼런스는 인공지능디지털 교육의 국내동향, 사회적 영향, 교육의 책무를 대주제로 하고 세션별 세부주제를 글로벌 인공지능디지털 교육 동향 이해’, ‘인공지능의사회적 영향과 교육의 책무 및 학교급별 위계와 연계성’, ‘인공지능(AI)디지털 기술의 편익 공유를 위한 미래 교육 방향 찾기, ‘교육자가 해석하는 우리나라 인공지능(AI)디지털 교육의 바른 방향으로 구분하여 진행한다.

 

     이번 컨퍼런스는 학교, 교사, 가정, 학생의 입장에서 AI디지털 교육의 내용과 방향성을 정립하고, 내년의 교육을 무엇을 어떻게준비해야 할지에 대한 배움의 장이 마련된다.

 

1부 공통 세션에서는 조희연 서울시교육감과 신종호 서울대 교수의특강 및 Jake Baskin 미국정보과학교사연합회장의 강연과 함께, 1,024명의 참석자들이 인공지능·디지털 교육의 보편· 포용 교육으로의 공동실천을 선언한다.

 

2부 세션에서는 카이스트 이광형 총장, 서울대학교 신종호 교수, 고려대학교 김현철 교수, 포항공대 유환조 교수, 스캐터랩 AI 윤리법무팀 하주영 변호사, Askup 박찬준 리더 등의 전문가 그룹, 학교 현장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현장 교사 그룹, 서울시교육청의 인공지능, 디지털 교육 정책 전문가 그룹의 맞춤형 강의와 함께 토론의 장이 함께 열린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이번 2023년 서울 AI디지털 교육 컨퍼런스를 통해 학교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는 교육 정책이 확대될 것이다.”“2024년부터 인공지능 교육의 방향 또한 ‘AI디지털 교육의 보편포용 교육 현장 실천으로 발전해 나아가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수원특례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사람과 반려동물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도시 연구회’연구용역 착수
[아시아통신] 수원특례시의회 내 연구단체인 ‘사람과 반려동물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도시 연구회’가 5월 2일 문화체육교육위원회 회의실에서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김소진 대표의원을 비롯해 이재선 의원, 정영모 의원, 현경환 의원, 수원시 관련부서 및 용역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하여 반려동물과 사람 모두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도시 환경 조성을 위한 반려동물 친화 도시 공존 거버넌스 구축 연구 방향에 대해서 논의했다. 이번 연구는 ▲수원특례시 내 반려동물 인프라 현황 분석 ▲국내외 반려동물 정책 및 조례 비교 ▲반려인과 비(非)반려인의 인식 개선 방안 ▲사회적 고립 해소 및 생명존중 문화 확산을 위한 정책 제안 등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김소진 대표의원은 “이번 연구는 단순한 동물 보호를 넘어 복지의 개념으로 확장된 정책 패러다임을 수립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며 “사람과 동물이 함께 사는 따뜻한 도시, 수원특례시의 미래상을 그려갈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회는 김소진 대표의원(국민의힘, 율천·서둔·구운·입북)외 배지환 의원(국민의힘, 매탄1·2·3·4), 이재선 의원(국민의힘,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