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6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뉴스

성동구, 귀갓길 안전도우미 안심귀가스카우트 운영

지난해 귀가지원 8,518건, 순찰 14,714건, 올해 왕십리역 등 6개 거점지역으로 귀가동행 지원

 

 

 아시아통신 박해웅 기자 | 서울 성동구가 이달부터 여성·청소년의 밤길 안전을 돕는 ‘안심귀가스카우트’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운영한다.

 

 

지난달 최종 13명의 스카우트 대원을 선발, 대원들은 상황실(1명) 및 왕십리역 등 6개 권역(12명)에서 2인 1조로 편성하여 ‘안전귀가지원’과 ‘취약지 순찰’, ‘안심 사업 홍보’등 활동에 나선다.

 

 

‘안전귀가지원’은 청소년, 여성 등 범죄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며 밤길 귀가에 불안함이 없도록 경광봉으로 어두운 밤길을 밝히고 집 앞까지 귀가동행을 돕는 사업으로 ‘취약지 순찰’은 유흥업소 지역 주변, 인적이 드문 골목길 등을 집중 순찰함으로써 범죄예방 역할을 수행한다.

 

 

귀가지원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지하철역 또는 버스정류장 도착 30분 전에 동행 장소를 지정해 신청하면 된다. 전화 또는 스마트‘안심이’앱으로 신청한 후 약속된 시간과 장소에서 스카우트를 만나 함께 집 앞까지 귀가한다.

 

 

안심귀가 스카우트 대원들은 멀리서도 눈에 띄는 노란 조끼와 모자를 착용하고 한 손에는 경광봉을 들고 있어 스카우트 대원을 거리에서 만난다면 즉석에서 귀가지원 서비스 신청도 가능하다.

 

 

서비스 이용 가능 시간은 월요일은 오후 10시부터 자정까지, 화~금요일은 오후 10시부터 익일 1시까지 운영하며 주말과 공휴일은 제외된다.

 

 

지난해 성동구의 안심귀가스카우트는 귀가지원 8,518건과 취약지역 순찰 14,714건의 활동을 펼쳤다.

 

 

평소 야근이 잦은 직장인 김00(32세) “늦은 밤 귀가할때마다 집 앞 으슥한 골목길이 무서워 집을 향해 뛰어갔는데 안심귀가스카우트 대원이 집 앞까지 데려다주니깐 전혀 무섭지 않다”며 서비스에 대해 만족한다고 말했다.

 

 

안심귀가스카우트로 활동 중인 대원 박00(64세)은 “우리가 주민들의 밤길 걷는 두려움을 덜어주고, 범죄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에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심야시간 귀가서비스를 통해 범죄를 사전에 예방하고 지역 안전 사각지대에 대한 안전망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생활 속 여성안전을 강화하겠다”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포천시종합사회복지관 추석맞이 이웃과 함께하는 한 끼 '추석 레시피' 진행
[아시아통신] 포천시종합사회복지관은 고립위기가구 발굴 및 지원 ‘뭉쳐야 산다’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24일 추석맞이 이웃과 함께하는 한 끼 ‘추석 레시피’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올해 상반기 진행된 ‘집밥레시피’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지역 주민들과 함께 삼색꼬치전을 비롯해 송편, 떡만두국 등 다양한 음식을 만들고, 꾸러미를 준비하며 또 다른 이웃에게 나눔을 실천하는 추석 명절을 즐길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됐다. 한 참여자는 “집밥 레시피에서 배운 요리를 이웃에게 직접 대접할 수 있어 정말 뿌듯했다”며 “함께 모여 음식을 나누니 명절이 실감난다”고 소감을 전했다. 김상진 관장은 “이번 추석 행사는 고립 위기 가구가 이웃과 함께 어울리고, 참여하며, 나눔을 실천하는 명절을 미리 즐기는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지역사회 안에서 관계망을 형성하고 서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이어가겠다”고 전했다. 포천시종합사회복지관은 관내 유일의 종합사회복지관으로써 찾아가는 복지관 운영, 고립위기가구 발굴 및 예방 사업, 사례 관리 사업, 장애인 활동 지원 사업, 지역 조직화 등 취약계층 지원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