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0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뉴스

관세청, '전자상거래 수입 역대 최대치 경신'

20대~50대 “2명 중 1명” 해외직구 이용

 아시아통신 최혜정 기자 | 관세청은 온택트(On-Tact) 시대를 맞아 늘어나는 전자상거래 수입에 대하여 주요 특징을 분석해'5대 핵심어로 보는 2021년 전자상거래 수입'을 발표했다.

 

 

’21년 1월부터 11월까지 전자상거래 수입 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25.7% 증가한 41억 5천만 달러로 이미 전년도 연간 실적을 넘어서 수입 금액 역대 최대치를 조기에 달성했다.

 

 

같은 기간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40.6% 증가한 7천 9백만 건으로 11월까지 이미 전년 실적을 넘어 역대 최대치를 달성하였고, 올해 최초로 8천만 건 돌파가 예상된다.

 

 

주요 해외직구 이용 계층이 20대∼50대 임을 고려하면, 우리나라 20대∼50대의 2명 중 1명(47.3%) 가까이 해외직구를 이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연령층은 40대(32.3%) ' 30대(30.5%) ' 50대(15.6%) 순이며, 성별을 고려하면 ‘40대’의 ‘남성’이 전체 직구 구매건수의 16.5%를 차지하며 해외직구를 많이 이용하였고, 다음으로는 ‘30대·여성’(15.9%)으로 집계되었다.

 

 

’21년 1월부터 11월까지 전자상거래 수입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건강식품(19.4%), 의류(17.7%), 가전·컴퓨터(10.4%), 신발류(7.3%), 핸드백·가방(6.8%)이 전체의 61.7%를 차지하였고, 구매품목으로 건강식품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동기대비 수입금액이 크게 상승한 품목은 식품류(44.2%↑), 서적류(40.5%↑), 신발류(28.9%↑) 순이며, 미국에서의 수입 증가가 식품류 수입 상승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전자상거래 수입은 중국의 광군제(11.11),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11월末) 등 연말 해외 대규모 할인행사의 영향으로 연중 4분기에 크게 증가하는 계절성을 보였으며, 올해 11월 수입도 연중 최대치인 4억 5천만 달러를 기록함에 따라 이러한 경향은 12월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관세청은 빠르게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환경에 발맞추어 해외직구 이용자 및 관련 신생기업에게 도움이 되는 전자상거래 수입 통계 등 유익한 정보 제공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배너
배너

안양시, IBK기업은행과 ‘중소기업 동행지원’ 업무협약 체결
[아시아통신] 안양시와 IBK기업은행이 관내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 자금 지원을 위해 ‘중소기업 동행지원’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날 오후 2시 시청 3층 접견실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최대호 안양시장, 백창열 IBK기업은행 CIB그룹 부행장 등 관계자 1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대내외 경영환경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관내 중소기업의 금융 부담을 낮춰주기 위한 것으로, 시와 IBK기업은행이 3년간 총 300억원 규모의 대출자금을 조성한다. 시는 대출금리의 1.5~2%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원하며, IBK기업은행은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경기신용보증재단과 협력해 대출 보증서 발급에 필요한 보증료를 최대 1.2%까지 지원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관내 중소기업은 기존의 이차보전 지원사업에 더해 보증료 지원까지 받게 돼 금융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지원대상 기업은 관내 중소기업 중 제조업, 지식·정보서비스업 등 563개 업종이며, 원자재나 부자재의 구입·제품의 생산·시장 개척·기술 개발·인건비 등 기업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용도로 대출하는 경우이어야 한다. 기업당 대출 한도는 최대 5억원, 지원 기간은 최대 3년이다. 협약은 올해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