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 군립공원, "연분홍 철쭉꽃 물든 황매산(1,108m) 평원"> 김광부 기자
“황제의 머릿속에 무슨 재앙처럼 남아 있는 말이 ‘바카야로’였다. 그
헌병대에서 가장 자주 들은 말 중의 하나여서 용케 기억된 말이었지만
그 뜻은 황제 자신도 잘 모르고 있었다. 그런데도 어쨌든 자기가 일본
말을 알고 있다는 게 은근히 자랑스러워진 황제는 그 말을 이용해서 눈
앞의 일본 헌병과 친해 보리라 마음먹었다.”
이문열 저(著) 《황제를 위하여》 (RHK, 147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경남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 군립공원, "연분홍 철쭉꽃 물든 황매산(1,108m) 평원"> 김광부 기자
소설《황제를 위하여》에는 《정감록》에 예언된 대로, 이씨 왕조가 끝
나면 정씨 왕조가 시작된다는 것을 믿고, 자신이 바로 그 사람이라는
확신 속에 산 얼빵한(?) 황제 이야기가 나옵니다. 그는 실제로 남조선
이라는 왕국을 계룡산 기슭에 세웁니다. 《황제를 위하여》는 바로 그
남조선 창건주의 일생을 기록한 이야기입니다. 그가 얼마나 현실과 시
대를 알지 못했는가는 일본 헌병을 만난 이야기에서 나옵니다.
<경남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 군립공원, "연분홍 철쭉꽃 물든 황매산(1,108m) 평원"> 김광부 기자
때는 일제 시대, 황제는 일본 헌병과 친해지려 그들이 가장 많이 쓰던
‘빠가야로(바보, 얼간이)’란 말을 하면서 접근합니다.
“나니(뭐 어째)?”
“빠가야로.”
“보구오 히야카스노까(나를 놀리는가)?”
“빠가야로.”
“안타 기가 구릇다노가이(이게 미쳤나)?”
“빠가야로”
<경남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 군립공원, "연분홍 철쭉꽃 물든 황매산(1,108m) 평원"> 김광부 기자
‘빠가야로’란 말의 뜻도 제대로 알지 못했던 황제는 결국 신나게 두
들겨 맞았습니다. 두들겨 패는 일본 헌병 앞에서 계속 외쳤습니다.
“빠가야로, 빠가야로...”
소설 속 황제는 반(反) 혹은 비(非)―현실적인 사람이지만, 그 마음만은
깨끗하고 순수한 사람입니다. 그러나 시대를 이해하지 못하면 두들겨
맞을 뿐입니다.
<경남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 군립공원, "연분홍 철쭉꽃 물든 황매산(1,108m) 평원"> 김광부 기자
성도들은 잇사갈 지파처럼 시대를 잘 알아야 합니다. 시대를 읽은 후 그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어떻게 행할 지를 잘 알아야 합니다.
<경남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 군립공원, "연분홍 철쭉꽃 물든 황매산(1,108m) 평원"> 김광부 기자
“잇사갈 자손 중에서 시세를 알고 이스라엘이 마땅히 행할 것을 아는
우두머리가 이백 명이니 그들은 그 모든 형제를 통솔하는 자이며”
(대상12:32) <경건 메일 / 한재욱 목사>
<경남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 군립공원, "연분홍 철쭉꽃 물든 황매산(1,108m) 평원"> 김광부 기자
<경남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 군립공원, "연분홍 철쭉꽃 물든 황매산(1,108m) 평원"> 김광부 기자
<경남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 군립공원, "연분홍 철쭉꽃 물든 황매산(1,108m) 평원"> 김광부 기자
<경남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 군립공원, "연분홍 철쭉꽃 물든 황매산(1,108m) 평원"> 김광부 기자
<경남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 군립공원, "연분홍 철쭉꽃 물든 황매산(1,108m) 평원"> 김광부 기자
<경남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 군립공원, "연분홍 철쭉꽃 물든 황매산(1,108m) 평원"> 김광부 기자
<경남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 군립공원, "연분홍 철쭉꽃 물든 황매산(1,108m) 평원"> 김광부 기자
<경남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 군립공원, "연분홍 철쭉꽃 물든 황매산(1,108m) 평원"> 김광부 기자
<경남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 군립공원, "연분홍 철쭉꽃 물든 황매산(1,108m) 평원"> 김광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