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광양 매화마을, "섬진강과 자연이 어울려 만든 마을 - 매화꽃 흩날리는 우리나라 대표 꽃길"> 김광부 기자
“앨런 튜링(1912-1954)은 1950년 발표한 철학 학술지〈마인드〉에
게재한 논문‘계산 기계와 지능’에서 ‘기계는 생각할 수 있다’고 주
장했다. 이를 테스트하기 위해 ‘튜링 테스트’를 개발했다. 튜링 테스
트는 인간과 기계가 대화하여 테스트 하는 방법이다. 상대가 기계라고
눈치채지 못한다면 ‘지능이 있다’고 인정하는 방법이다. 기계의 지
능이 인간과 같은지를 인간과의 대화를 통해 테스트하는 방법이다.”
이경미 저(著) 《웰컴 투 인공지능》 (서사원, 65쪽) 중에 나오는 구절
입니다.
<전남 광양 매화마을, "섬진강과 자연이 어울려 만든 마을 - 매화꽃 흩날리는 우리나라 대표 꽃길"> 김광부 기자
앨런 튜링은 기계가 인간처럼 지능을 갖췄는지 테스트하는 방법으로
‘튜링 테스트(Turing Test)’를 제안했습니다. 기계가 인간을 흉내
내야 한다는 점에서 튜링 테스트는 ‘이미테이션 게임(Imitation Game)’
, 혹은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기계와 사람을 커튼 뒤에 보
이지 않도록 위치시킨 다음, 심판관이 기계와 사람에게 동일한 질문을
던졌을 때 이들이 제시하는 답변을 듣고 이 둘을 심판관이 분간할 수
없을 경우,기계가 인간처럼 생각하는 지능을 가졌다고 인정하는 테스
입니다.
<전남 광양 매화마을, "섬진강과 자연이 어울려 만든 마을 - 매화꽃 흩날리는 우리나라 대표 꽃길"> 김광부 기자
“최초로 튜링 테스트를 통과한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있다. 영국의 레
딩대학교에서 개발한 채팅프로그램 유진 구스트만(Ewne Goostan)이다.
2014년 6월 ‘우크라니아 13세 소년’으로 소개한 유진은 심사위원들과
5분간 채팅을하였다. 그 결과 33%(합격점 30%)의 심사위원들이 인간이
라고 판단했다. 유진 구스트만은 큰 화제를 불러 일으키고 튜링 테스
트를 통과한 인공지능 프로그램에게 수여하는 ‘뢰브너상’ 메달을 수
상했다.” (67쪽)
<전남 광양 매화마을, "섬진강과 자연이 어울려 만든 마을 - 매화꽃 흩날리는 우리나라 대표 꽃길"> 김광부 기자
시간이 흐를수록 인공지능은 더욱 사람과 비슷해질 것입니다. 경이롭
기도하고 무섭기도 한 세상입니다. 최상의 것은 최악의 것과 통합니다.
그리스도인이 이 시대 속에서 해야 하는 큰 사명 중 하나는,
인공지능이 최악이 아닌 최상의 것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니” (마5:13)
<경건 메일 / 한재욱 목사>
<전남 광양 매화마을, "섬진강과 자연이 어울려 만든 마을 - 매화꽃 흩날리는 우리나라 대표 꽃길"> 김광부 기자
<전남 광양 매화마을, "섬진강과 자연이 어울려 만든 마을 - 매화꽃 흩날리는 우리나라 대표 꽃길"> 김광부 기자
<전남 광양 매화마을, "섬진강과 자연이 어울려 만든 마을 - 매화꽃 흩날리는 우리나라 대표 꽃길"> 김광부 기자
<전남 광양 매화마을, "섬진강과 자연이 어울려 만든 마을 - 매화꽃 흩날리는 우리나라 대표 꽃길"> 김광부 기자
<전남 광양 매화마을, "섬진강과 자연이 어울려 만든 마을 - 매화꽃 흩날리는 우리나라 대표 꽃길"> 김광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