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16.7℃
  • 구름조금강릉 15.3℃
  • 맑음서울 18.7℃
  • 구름많음대전 17.9℃
  • 구름조금대구 19.8℃
  • 구름조금울산 17.7℃
  • 맑음광주 20.0℃
  • 구름조금부산 19.3℃
  • 맑음고창 18.7℃
  • 맑음제주 20.2℃
  • 구름조금강화 16.2℃
  • 구름많음보은 17.6℃
  • 구름조금금산 17.9℃
  • 맑음강진군 20.5℃
  • 맑음경주시 19.0℃
  • 구름조금거제 17.8℃
기상청 제공

포스코, 아르헨 리튬호수 "복덩이를 넝쿨째" 

 

 

3~4년 전에 3,000억원에 샀는데 현시세로 최소 35조원 상당을 홋가한다면 '대박'이 틀림없겠지요?! 남의 나라 예기가 아니라 포스코 이야깁니다. 운(運)이터진 스토리를 소개합니다. #...포스코는 2018년 아르헨티나 옴브레 무에르토 에 위치한 '리튬호수'를 인수했다. '리튬호수는 '소금호수'이다. 무슨 용도로 인수했는지는 확인을 못했지만 어찌보면 철강업체인 포스코가 소금호수에서 소금캘 일도 없을 터 인데 무려 3,100억원이라는 어마어마한 돈을 투자해 왜 그 소금호 수를 샀을까? 하옇튼 사연은 있을 것같다. 주위의 많은 사람들이 의아해 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런데, 생각지도 못했던 복이 넝쿨째 굴러들기 시작했다. 첫 째 복은 전기차가 세계적 화두로 급속적으로 머리를 밀고 튀어오른 것이다. 테슬라다 뭐다하면 세계 도처에서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거액 투자가 러시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라튬은 전기차용 배터리를 만든 데 아주 중요한 .필수소재이다. 둘째는 아르헨티나 리튬호수를 인수하면서 리튬 매장량을 220만 t으로 추산했었는데, 얼마전 정밀 조사를 해보니 그 보다 6배가 넘는 1,350만 t이나 매장돼 있음이 확인되 것. 이 정도의 매장량이라면 최소 전기차 약 3억 7,00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엄청난 양이다. 또, 한가지 복이 더 있는데 그것은 라튬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의 탄산리튬 현물가격을 기준할 때 지난해 7월 t당 5,000달러 수준에서 올 2월에는 t당 1만 1,000달러로 뛰오올랐다. 포스코로서는 그야말로 '소금호수'하나 샀다가 철철 넘치는 복을 구가하고 있는 셈. #...포스코 관계자는 "현재 중국을 포함한 전 세계가 전기차 개발 및 양산화에 주력하고 있어 전기차 배터리의 필수 소재인 리튬가격은 계속 상승할 전망"이라며 "이참에, 리튬이 외에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양극재 핵심원료인 니켈 투자도 적극 추진 중에 있다"고 귓뜸했다.
배너
배너

오세훈 시장, 4일(화) ‘2025 사랑의 희망박스 박싱데이’ 참석 “약자‧동행특별시 서울 실현위해 시민사회, 기업 등과 협력체계 더욱 강화”
[아시아통신] 오세훈 서울시장은 4일(화) 오전 10시 청계광장에서 열린 ‘2025 사랑의 희망박스 박싱데이’에 참석해 기부에 참여한 기업과 단체에 감사의 뜻을 전하고, 소외계층 전달할 선물박스를 직접 포장하며 행사의 의미를 기렸다. 이날 행사에는 오세훈 서울시장을 비롯해 이영훈 굿피플인터내셔널 이사장, 조남권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조남권 사무총장 등이 참석했다. ‘사랑의 희망박스’는 굿피플이 주관하는 14년간 이어온 나눔운동으로, 매해 저소득가정과 홀몸 어르신, 한부모가정 등 어려운 이웃에게 따뜻한 겨울나기를 돕는 식료품과 생필품을 포장해 전달하는 행사다. 올해 희망박스에는 즉석밥, 햄, 죽, 미역국 등 16종이 담겼다. 기부물품 규모는 약 25억 원으로 CJ제일제당이 동참했다. ‘박싱데이’는 크리스마스 다음 날인 26일을 일컫는 말로 곡물, 과일 등을 상자에 담아 주변 어려운 이웃에게 선물하는 관습에서 유래된 말이다. 오 시장은 “사랑의 희망박스에 담긴 따뜻한 마음과 희망이 누군가에게는 온기가 되고 다시 일어설 용기가 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복지 사각지대를 세심하게 살피고 어려운 이웃이 소외되지 않는 ‘약자 동행 특별시 서울’을 실현하기 위해 시민사회, 기

구미경 시의원, 서울시 지방보조사업 성과평가 시스템 이대로 괜찮은가…‘미흡’평가 사업도 예산 증액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소속 구미경 시의원(국민의힘, 성동구 제2선거구)은11월 4일(월) 열린 제333회 정례회 ‘기획조정실’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의 지방보조사업 성과평가 시스템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실효성 있는 개선을 촉구했다. 서울시는 지방보조사업 평가에서 ‘매우우수(10%)’, ‘우수(20%)’, ‘보통(50%)’, ‘미흡(15%)’, ‘매우미흡(5%)’의 비율을 설정하고 있으며, 최근 5년간 평가된 507개 사업 중 약 70%인 352개 사업이 ‘보통 이하’ 등급을 받았다. 특히, 성과가 '매우미흡' 등급을 받은 사업이 폐지되지 않고 여전히 유지되고, 심지어 '미흡' 평가를 받은 사업이 예산 증액을 받아 다음 해 예산에 반영되는 심각한 문제 사례를 지적했다. 구미경 의원은 부진한 사업에 대해 실질적인 개선 없이 형식적인 관리만 이루어지고 있어 과감한 구조조정과 실효성 있는 예산 조정 절차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나아가, 2021년~2025년 지방보조사업 운용평가에서 ‘미흡’ 및 ‘매우미흡’ 평가를 받은 108개 사업 중 평가 이유가 명시되어 있는 사업이 단 12개뿐이라 지적하며, 이는 평가자가 사업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