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속보

의령군, 국가 보물 보천사지 출토 문화재 인수

 

 

의령군(군수 오태완)은 지난 21일 의령읍 보천사지 삼층석탑 정비사업 부지 내 유적에서 출토된 국가귀속문화재 237점을 인수하였다고 밝혔다. 의령 보천사지 삼층석탑은 보물 제373호로 1963년에 지정된 이후 문화재청 국가지정문화재 보수사업에 선정되어 현재까지 3차례에 걸쳐서 발굴조사가 진행되었다. 이번에 인수한 국가귀속문화재는 삼층석탑 주변 정비사업 부지로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재)극동문화재연구원에서 실시한 1~2차 발굴조사 구역에서 출토되었다. 유물은 명문기와, 연화문막새, 당초문막새, 청자편 등 237점이다. 특히 학계에서 이번 출토 문화재를 통해 보천사지의 건립 연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며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이번 출토된 기와에 기록된 명문에는 ‘통화 29년 숭엄사(統和卄九年嵩嚴寺)’, ‘봉림하(鳳林下)’라는 내용이 선명히 기록돼있다. 통화는 요나라(거란) 성종(983~1011)때의 연호이며, 통화 29년은 고려 현종(1010~1031) 2년(1011)에 해당한다. 그동안 보천사지가 석탑과 승탑의 형식으로 신라말~고려 초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막연히 추정됐다. 이번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유물을 통해 고려 현종 이전에 보천사지가 건립되었다는 근거인 실물 자료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의병박물관 관계자는 “이번에 인수한 보천사지 유물은 의령지역에서 최초로 국가지정문화재에 대한 정식발굴조사를 통해 출토된 유물로 의미가 깊다”라며 “앞으로 3차 발굴조사 출토 유물 역시 온전히 인수하여 지역의 대표 공립박물관인 의병박물관에 보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의병박물관은 2012년 임진왜란 의병 전문박물관으로 개관하여 최신의 항온항습기능을 갖춘 유물 보관시설을 완비하였다. 2018년 문화재청으로부터 ‘국가귀속문화재 보관관리 위임기관’으로 지정되어 의령지역에서 출토된 국가귀속문화재를 인수하여 지역사 연구 및 다양한 전시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아시아통신 김홍철 기자 |
배너
배너


김영옥 보건복지위원장,‘서울시 청년 자살예방 위한 100인 토론회’참석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옥 위원장(국민의힘, 광진3)은 7월 4일(금) 오후 2시, 서울시의회 본관 8층 다목적홀에서 개최된 「서울시 청년 자살예방을 위한 100인 토론회」에 참석하여 축사를 통해 청년들에게 따뜻한 격려와 지지를 전하였다. 이번 토론회는 서울시가 추진 중인 「청년 자살실태 분석 및 해결을 위한 연구용역」의 일환으로 마련되었으며, 실제 위기 경험이 있는 청년 당사자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청년이 직접 제안하는 정책 아이디어를 발굴·검토하는 공론의 장으로 기획되었다. ‘말해줘서 고마워, 들어줘서 행복해’라는 부제를 내건 이번 토론회에는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진과 청년 100인이 참여하였으며, 총 3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1부에서는 청년 당사자의 위기 극복 경험담과 서울시 정신건강 및 자살예방 정책 소개가 이루어졌다. ▲2부에서는 청년 참여자들의 정책 제안 자유발언과 전문가들의 평가가 진행되었다. ▲3부에서는 우수 정책을 선정하기 위한 현장 투표와 결과 시상, 청년 음악인의 공연이 이어져 청년들의 목소리를 존중하고 격려하는 시간으로 마무리되었다. 김영옥 위원장은 이날 축사를 통해 “지금 이 순간, 여러분 한 사람 한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