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0 (월)

  • 맑음동두천 3.7℃
  • 맑음강릉 10.8℃
  • 맑음서울 7.3℃
  • 맑음대전 5.5℃
  • 맑음대구 6.9℃
  • 맑음울산 7.7℃
  • 맑음광주 7.4℃
  • 맑음부산 11.7℃
  • 맑음고창 4.4℃
  • 맑음제주 12.4℃
  • 구름조금강화 5.6℃
  • 맑음보은 3.1℃
  • 맑음금산 3.9℃
  • 맑음강진군 8.1℃
  • 맑음경주시 4.8℃
  • 맑음거제 7.9℃
기상청 제공

서성란 경기도의원 “오전역 환승주차장, 지금 제대로 준비하지 않으면 늦습니다”

서성란 의원, “면적 중심의 낡은 기준 버리고, 수요·연구결과 반영한 환승정책으로 전환해야”

 

[아시아통신]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서성란 의원(국민의힘·의왕2)은 10일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에서 열린 2025년 경기도 행정사무감사에서 철도항만물류국을 대상으로 질의하며, 경기도의 환승주차장 정책이 여전히 면적 중심의 구시대적 기준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서성란 의원은 이에 따라 경기연구원의 정책 제언을 실질적으로 반영하고, 의왕시 오전역 환승주차장 증축사업에 대한 도비 지원을 적극 검토할 것을 경기도에 강력히 촉구했다.

 

서성란 의원은 “경기연구원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도민 요구는 분명하다. 철도역 신설과 역 인근 공영주차장 확보가 1·2순위로 꼽히고, 주차요금 감면과 주차공간 확대가 주요 개선 과제로 제시됐다”며, “그런데 도의 환승주차장 지원사업은 여전히 면적·형평성·신청 건수 중심이다. 연구를 해놓고 정책은 그대로 두는 것은 보여주기식 행정”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철도항만물류국은 “이용객 중심 평가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한다”며 “2026년도 환승주차장 지원계획부터 승차인원과 환승수요 중심의 평가체계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서성란 의원은 이어 의왕시 오전역 환승주차장 지원 제외 문제를 지적하며, “도는 2021년 경기 정책공모로 이미 주차장이 추진 중이라 중복사업이라 판단했지만, 이는 생활복합형 공모사업과 광역철도 환승 인프라 사업을 혼동한 잘못된 행정 판단”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오전역은 인덕원~동탄 복선전철의 급행 정차역으로, 하루 약 2만 명의 이용이 예상된다”며 “현재 계획된 지하 2층 91면 규모로는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다. 의왕시가 추진 중인 지하 3층 증축에는 추가 예산이 필요한 만큼, 광역교통시설부담금을 통해 도가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서성란 의원은 “이미 수요가 명확히 예측되고 있는데, 나중에 ‘그때 늘릴 걸’ 하는 행정은 더 이상 반복돼서는 안 된다”며 “오전역의 환승주차장이 차질 없이 확충될 수 있도록, 도에서 사전에 충분히 검토하고 각별히 챙겨달라”고 당부했다.

 

철도항만물류국은 “오전역 환승주차장 증축 필요성에 공감하며, 사업계획이 변경될 경우 추가 사업비 지원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배너
배너

경기도의회 K-웹드라마 어워드 대상 수상...김진경 의장 “다양한 채널 통한 소통에 최선 다할 것”
[아시아통신] 경기도의회가 제작한 웹드라마 ‘의원탐정 기도경’이 11월 8일 열린 ‘제3회 K-웹드라마 어워드’에서 최고상인 대상(황금해나루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지방의회가 제작한 홍보용 웹드라마로서는 처음으로 K-웹드라마 어워드 전국 경쟁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한 사례로, 단순한 기관 홍보를 넘어 작품성과 대중성의 결합이라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의원탐정 기도경’은 “낮에는 의원, 밤에는 탐정”이라는 독창적 설정으로, 도민의 민생 현장을 누비며 문제를 해결하는 의원의 모습을 탐정 서사로 풀어낸 작품이다. 총 10부작으로 구성된 이번 시리즈는 실제 ‘보이스피싱’, ‘치매 가족’, ‘한부모가정 청소년’ 등 경기도의회가 제정한 관련 조례를 이야기 속에 녹여냈다. 특히 2020년부터 매년 한 편씩 제작해온 경기도의회 웹드라마는 올해로 여섯 번째를 맞으며, 도민의 삶과 밀착된 의정 이야기를 쉽고 따뜻하게 전달해 왔다. 이러한 진정성이 작품 곳곳에 녹아 있어, 평소 탐정 추리물을 즐겨 읽는 주인공 ‘기도경’의 시선을 통해 의원의 역할을 흥미롭고 현실감 있게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