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0 (월)

  • 맑음동두천 10.1℃
  • 맑음강릉 15.1℃
  • 맑음서울 10.5℃
  • 맑음대전 13.5℃
  • 맑음대구 13.4℃
  • 맑음울산 13.3℃
  • 맑음광주 14.3℃
  • 맑음부산 14.8℃
  • 맑음고창 13.6℃
  • 맑음제주 16.2℃
  • 맑음강화 9.0℃
  • 맑음보은 12.0℃
  • 맑음금산 12.3℃
  • 맑음강진군 15.3℃
  • 맑음경주시 13.4℃
  • 맑음거제 13.1℃
기상청 제공

IT과학

서울시, 장인의 손끝에서 피어나는 가을…11월 무형유산 공개행사 개최

서울무형유산 교육전시장에서는 매듭·자수·옥장의 전시와 공개행사(12일, 14일)

 

[아시아통신] 단풍으로 물든 11월, 서울시는 서울 고유의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무형유산 공개행사를 개최한다. 조선시대 군사들의 ‘전통군영무예’ 공개시연부터 ‘단청장’ 이수자 전시, ‘자수장’과 ‘매듭장’, ‘옥장’ 공개행사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시민들을 맞이할 예정이다. 모든 공개행사와 전시는 관심 있는 시민 누구나 무료로 참가할 수 있다.

 

먼저 11월 11일 서울역사박물관 야주개홀에서 ‘전통군영무예’ 학술 세미나(오전 10시)와 남산골한옥마을 천우각 무대에서 공개 시연(오후 3시)이 각각 열린다.

 

‘전통군영무예’는 조선시대 한양을 지키던 최정예 군사들이 필수적으로 갖춘 무예이다. 정조대 편찬된 무예 교본인 ‘무예도보통지’를 근간으로 하며, 현재 전통군영무예보존회가 전승에 힘쓰고 있다. 오전 학술 세미나에서는 자료 구축과 전형(典刑) 제정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오후에는 그 결과를 무예로 직접 보여주는 공개 시연 행사가 열린다.

 

11월 11일 12시 남산골한옥마을 전통공예관에서 ‘단청장’ 이수자들의 합동 전시가 개막한다. 전시는 12월 14일까지 계속된다.

 

단청은 건물을 보호하는 동시에 아름답게 꾸미고, 건물의 격식을 더하는 우리의 전통 건축 장식 기법이다. 이번 전시에는 단청장 양용호 보유자 문하에서 배우며 전통의 맥을 이어온 이수자들이 자신만의 현대적 해석과 감각을 담아낸 작품들을 선보인다.

 

11월 12일 오전10시 서울무형유산교육전시장에서는 서울시 무형유산 ‘자수장’, ‘매듭장’, ‘옥장’의 합동 전시가 시작된다. 개막과 동시에 자수장 김현희 보유자와 매듭장 노미자 보유자의 기능을 선보이는 공개행사가 열리고, 14일 오후 2시에는 옥장 엄익평 보유자 공개행사가 이어진다.

 

‘자수장’은 오색실로 직물에 무늬를 수놓는 바느질 기술이다. 이번 전시에는 꽃과 새를 수놓은 화려한 화조문 보자기를 비롯해 현대적 감각으로 표현한 독창적인 조각보도 감상할 수 있다.

 

‘매듭장’은 색색의 비단실끈을 다양한 방식으로 엮어, 화려한 색감과 균형 잡힌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대표 공예 기술이다. 이번 전시에는 아름다운 각양각색의 노리개가 선보이고, 공개행사에는 노미자 보유자가 직접 방망이술(어보(御寶)를 장식하던 둥근 모양의 술머리) 만드는 기술을 보여준다.

 

‘옥장’은 은은한 푸른 빛을 머금은 보석인 옥을 다루는 기술로, 옥은 동양에서 전통적으로 고급 용품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백옥의 봉황향로를 비롯해 장도, 비녀, 각대(角帶) 등 다양한 옥공예품의 영롱한 아름다움을 재발견할 수 있다.

 

한광모 서울시 문화유산보존과장은 “이번 무형유산공개행사는 대한민국 고유의 아름다움을 시민들과 공유하는 소중한 기회”라며 “우리의 전통문화가 세계 속에서 또 다른 새 문화를 만들어내는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이어 가겠다”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서울역사박물관, 박물관 협력의 새 장 연다 김경 서울시의원, "청소년·시민이 함께하는 문화 플랫폼으로"
[아시아통신]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경 의원은 6일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열린 서울역사박물관 및 한성백제박물관 행정사무감사에서, 두 박물관이 처음으로 공동 운영한 교육 프로그램 ‘한성부터 서울까지’의 성과를 높이 평가하고, 협력 모델 확대를 제안했다. 김 의원은 “최병구 서울역사박물관장과 김지연 한성백제박물관장의 리더십이 빛난 사례”라며 “두 박물관이 공동으로 진행한 ‘한성부터 서울까지’ 프로그램은 한성백제의 고대부터 서울역사박물관의 근현대까지 서울 2천년 역사를 한 흐름으로 체험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도였다”고 평가했다. 이어 김 의원은 “박물관마다 시대가 단절돼 있었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한성백제와 서울역사박물관이 협력함으로써 교육의 연속성과 통합적 역사 이해를 가능하게 했다”고 밝혔다. 두 박물관은 올해 10월 공동으로 온라인 교육을 12회 운영해 약 270명의 학생이 참여했으며, 총 12개 학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전체적으로 700명 정도의 교육생이 참여했고, 만족도가 높았다”며 “내년에는 다른 시립박물관들과 협력해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할 계획”이라고 보고했다. 김 의원은 “두 관장님의 협력 의지와 실행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