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6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여행/레저

과기정통부, 국내 연구진, 나사처럼 꼬인 나노 구조로 전자의 스핀 조절 성공

고려대 김영근 교수와 서울대 남기태 교수 연구팀 연구성과, ‘사이언스(Science)’지 게재

 

[아시아통신]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외부 자기장이나 극저온 장치 없이도, 전자의 스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자성(magnetic) 나노 나선 구조를 만들고, 이러한 나노구조를 이용해 스핀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고려대학교 김영근 교수 연구팀(제1저자 전유상 박사, 정은진 연구원)과 서울대학교 남기태 교수 연구팀이 자성을 갖는 ‘카이랄 나선 구조’를 제작하고, 상온을 포함한 넓은 온도 범위에서 스핀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스핀트로닉스(Spintronics) 기술은 두 가지 스핀 상태(↑, ↓)를 제어하고 감지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 기술은 전기가 꺼져도 정보가 남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자성메모리(MRAM)의 핵심기술이자, 차세대 정보 소자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금속 결정화 과정을 전기화학적으로 조절하여 ‘카이랄 자성 나노 나선 구조’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소량의 카이랄 유기분자(신코닌cinchonine, 신코니딘cinchonidine)를 도입해 나선이 원하는 방향으로 꼬이도록 유도했는데, 이는 무기물에서 매우 드문 성과다.

 

이러한 카이랄 자성 나노 나선 구조에서는 특정 스핀만 잘 통과시키고, 반대 방향은 막는 현상을 실험적으로 입증했다. 3차원 나노 나선 구조 자체만의 회전성으로 스핀을 선택적으로 걸러내고 이동시킬 수 있음을 밝혀낸 최초의 결과이다. 추가로, 자성 나노 나선이 본래 가지고 있는 자성 덕분에, 이 구조를 통과한 스핀이 상온에서도 멀리 이동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연구팀은 나노 나선이 회전하는 자기장 속에서 스스로 전압(기전력)을 만들어내는 성질을 이용해 카이랄성을 정량적으로 확인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

 

김영근 교수는 “자성체는 그 자체로 전자의 스핀을 정렬하는 능력이 있어 카이랄 구조에 의한 스핀의 흐름 조절이 가능하다”라고 전했으며, “이번 연구로 그동안 이론과 실험으로 보고된 카이랄 스핀트로닉스 원리를 보다 더 이해하는 계기가 됐다”라고 강조했다.

 

남기태 교수는 “유기물과 달리 금속의 경우, 나노스케일에서 카이랄성을 제어하는 것은 중요한 과학적 난제이다. 분자를 이용한 나선의 꼬인 방향성을 제어한 최초의 결과이다”라고 의의를 밝혔다.

 

과기정통부 국가반도체연구실지원핵심기술개발사업과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의 지원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 성과는 세계 최고권위의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9월 5일(현지시간 9월 4일 14시, 미국동부시간'ET') 게재됐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