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6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바늘 마음

 


99CCAE445CD901E406.jpg

<전라남도 신안군, "홍도">  김광부 기자


“사랑의 시작은

그 사람의 커다란 단점마저 모두 받아주는 것에서 시작하고,

사랑의 결말은 그 사람의 작은 단점 딸랑 하나에서 막을 내린다.”


강태양 저(著) 《다시 시작》 (삶과 지식, 77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99CAC04F5CD902D612.jpg

<전라남도 신안군, "홍도">  김광부 기자

 

옛날 중국 위나라에 왕의 총애를 받고 있던 미자하(彌子瑕)라는 신하가

있었습니다. 그가 궁전을 거닐다가 떨어진 복숭아를 먹어보니 맛있어서

먹던 복숭아지만 왕에게 바쳤습니다. 왕은 이 신하가 자기를 너무 사랑

하기에 먹고 싶은 것도 참고 남은 것을 바쳤다며 고마워했습니다.


99F89B4E5CD908951D.jpg

<전라남도 신안군, "홍도">  김광부 기자

 

어느 날, 미자하는 어머니가 위급하다는 전갈을 받고, 왕의 허락도 없이

왕의 수레를 타고 달려갔습니다. 국법에 의하면 사형감이지만, 왕은 어

머니를 사랑하는 마음이 지극하다며 오히려 칭찬했습니다.

 

992AEA4D5CD9049A13.jpg

<전라남도 신안군, "홍도">  김광부 기자

 

해가 바뀌고 왕의 마음도 바뀌어, 이제 미자하를 미워하게 되었습니다.

미자하는 자기가 먹던 복숭아를 임금에게 줄 정도로 무엄한 신하,

왕의 수레를 허락도 없이 탄 신하라는 죄명으로 사형 당하였습니다...

사람의 마음은 천국과 지옥을 오고갑니다.

 

9970CA495CD903B71A.jpg

<전라남도 신안군, "홍도">  김광부 기자

 

마음이 열리면 바다도 포용하지만, 닫히면 바늘 하나 꽂을 틈 없습니다.

사람의 사랑은 자기중심적이고, 변하기 쉽습니다.

사람의 마음은 천국과 지옥을 오고갑니다.

 

996B8A4A5CD908BE1E.jpg

<전라남도 신안군, "홍도">  김광부 기자

 

마음이 천국일 때는 바다도 포용할 듯이 넓지만, 마음이 닫히면 바늘

하나 꽂을 틈이 없습니다. 마음이 열려있을 때는 상대방의 모든 것이

예뻐 보이지만 마음이 닫혀 있을 때는 좋은 일을 해도 나빠 보입니다.  

마음이 문제입니다. 내 마음을 다스리는 것이 가장 어렵고도 귀하며

남의 마음을 얻는 것 또한 가장 어렵고도 귀합니다.

 

997B124C5CD905320B.jpg

<전라남도 신안군, "홍도">  김광부 기자

 

이런 우리에게 희망이 있습니다.

하나님은 그리스도의 사랑이 우리의 ‘마음’에 부은 바 되었다고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우리의 마음이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충만할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999B264C5CD900D238.jpg

<전라남도 신안군, "홍도">  김광부 기자

 

“소망이 우리를 부끄럽게 하지 아니함은 우리에게 주신 성령으로 말미

암아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 마음에 부은 바 됨이니” (롬5:5)

<강남 비전교회 / 한재욱 목사>


995973505CD9047E0B.jpg

<전라남도 신안군, "홍도">  김광부 기자

 

99BC92435CD908E71A.jpg

<전라남도 신안군, "홍도">  김광부 기자



 

배너
배너


이숙자 운영위원장, 광복 80주년을 앞두고 “애국과 헌신”되새겨
[아시아통신] 이숙자 서울특별시의회 운영위원장(국민의힘·서초2)은 지난 8월 4일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열리는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전 개막식에 참석하여 시민들을 맞이하고, 축사를 통해 전시의 시작을 알렸다. 이번 특별전은, 안동시와의 교류협력 전시로, 안동 출신 독립운동가 이상룡 선생의 생애와 만주 무장독립운동의 의미, 임청각의 역사와 어록, 서예 작품을 전시하고 의미를 되새기는 한편, 서울 시민들이 80년간 광복절을 기억해 온 방식을 문학, 영화, 음악 등 대중문화 자료를 통해 재조명하는 전시가 동시에 진행된다. 이숙자 위원장은 축사에서 “이상룡 선생님은 독립운동가이시자 문중의 어르신으로, 그분의 삶은 늘 저에게 큰 울림이자 지침이 되어왔다.”고, 깊은 존경과 애정을 표현했다. 특히 “임청각을 포함한 전재산을 처분해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한 선생님의 결단은, 당대 지도층이 보여준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상징이자 실천이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위원장은 이번 전시의 기획 의도와 역사적 의미에 깊이 공감하며,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독립운동가들의 삶을 다시 기억하고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당부하며, “서울시의회도 이러한 뜻깊은 전시가 앞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