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2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세계

[한중교류] '미식'으로 이어지는 중·한 문화 교류

신화통신에 의하면 식당이 즐비한 중국의 대학가. 그중에서도 한국 고깃집은 거의 모든 대학 미식거리에 자리해 있다.

헤이룽장(黑龍江)성 하얼빈(哈爾濱)공업대학교 근처에도 한국 고깃집이 있다. 오후 7시임에도 이미 6개의 테이블이 꽉 차 있었다.

이곳을 운영하는 26세 김정훈씨는 "가게를 찾는 손님의 대부분이 중국인"이라며 "처음에는 돈이 없어 작은 가게를 빌렸는데 이렇게나 인기 있을 줄 몰랐다"고 말했다.

파마 머리를 한 젊은 청년 김정훈씨는 2015년 하얼빈으로 유학을 왔다. 이후 2019년 졸업한 그는 친구와 함께 가게를 열었다. 그는 "어머니가 해준 요리가 맛이 있어 저도 요리하는 것을 좋아했다"며 "창업하면 소득이 더 높을 것 같아 식당을 열게 됐다"고 소개했다.

중국 음식은 다양하고 심오해서 고기구이만 하더라도 많은 종류가 있다. 헤이룽장성에는 치치하얼(齊齊哈爾) 고기구이와 같은 음식이 현지 소비자들에게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지만 김정훈씨의 고깃집은 현지 음식과의 경쟁에서 밀리지 않았다.

김정훈씨는 "한국 고기구이 중 메인은 삼겹살로 중국 고깃집의 구이와는 차이가 있다"며 "제가 직접 만드는 소스를 맛본 고객들이 고기 맛과 소스 맛 때문에 저희 가게를 좋아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정훈씨의 가게 단골인 중국인 양룽옌(楊蓉艷)은 주변 친구들에게 이곳을 자주 추천한다. 그는 "대학교를 다닐 때 한국 드라마와 한국 문화를 좋아했다"며 "삼겹살을 구워 먹으면 드라마 '응답하라 1988'의 한 장면이 떠올랐다"고 설명했다. 

김정훈씨의 가게에는 케이팝이 주로 흘러나오고 벽면에는 한국의 유명한 관광지 사진들이 걸려 있다. 김정훈씨는 "가게를 열어 돈을 버는 것도 매우 중요하지만 제 가게를 통해 더 많은 중국인이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것 같고 또 많은 중국인 친구들을 알게 됐다"고 전했다.

 

                                  
                                                                                              지난 5월 14일 양대열씨 식당 안내판. (사진/신화통신)

 

한국인 양대열(39)씨도 하얼빈에서 한국식 식당을 운영하고 있다. 그는 "고기구이뿐만 아니라 국밥·김밥·어묵꼬치 등을 판다"고 말했다. 양대열씨는 하얼빈에서 6개의 식당을 운영하고 있으며 거의 모든 종류의 한국 음식을 판매하고 있다.

양대열씨는 "제가 운영하는 국밥집이 있는 거리에 제가 연 술집도 있고 편의점도 있다"며 "이 거리에 한국적인 요소가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본인의 가게에 '양씨'라는 이름을 붙이는 것을 좋아한다. 가맹점까지 합치면 한때 중국에서 약 20개의 식당을 열었으나 여러 사정으로 가게 수를 줄였다.

양대열씨는 "저희 편의점에서 파는 제품 대부분이 한국 식품이다"며 "중국 친구들이 한국 식품을 좋아하는 것 같아 한국에서 유행하는 제품들을 팔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숏폼 비디오를 찍어 한국 문화를 설명하기도 한다. "미식은 한·중 양국 국민들을 서로 이해시킬 수 있는 매개체"라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하얼빈에서 베이징까지의 거리는 하얼빈에서 서울까지의 거리와 비슷하다. 하얼빈의 지리적 위치는 하얼빈과 한국 간의 교류를 촉진시켰다. 지난 8월 20일 '2022 하얼빈·한국 우수상품 판촉전'이 하얼빈에서 열렸다. 14일간 진행된 판촉전은 한국 제품 600여 개를 집중적으로 전시·판매했다. 여기에는 식품·음료·뷰티케어 등 수십 가지 상품이 등장했다.

지난 6월에는 중·한 수교 30주년과 '중·한 문화교류의 해'를 축하하기 위해 '중·한 미식문화제'가 하얼빈에서 열렸다. 여러 한국 미식 기관과 일부 전통 둥베이(東北) 미식 기업이 참가해 교류했으며 시민들은 행사장에서 한국 고기구이, 김치, 한국 냉면 등의 요리를 마음껏 즐길 수 있었다.

 

                                                            
                                                                                         지난 6월 24일 '중·한 미식문화제' 행사 현장. (취재기관 제공)
 

룽옌은 "많은 하얼빈 사람이 자주 먹는 중국 음식과 한국 음식 간에는 많은 유사점이 있다"며 "이러한 유사점은 한국 음식이 중국에 알려지는 데 유리하다"고 말했다.

하얼빈에는 중국인이 운영하는 한식집도 매우 많다. 하얼빈의 백화점에서 한국 테마 레스토랑을 자주 볼 수 있고, 음식점들은 한국 음식 문화를 체험하는 것으로 소비자들의 발길을 사로잡는다.

허성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하얼빈 무역관 관장은 "미식문화제와 같은 행사가 한·중 양측의 전통적 우의를 공고히 하고 헤이룽장성 사람들의 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심화시키며 민간의 대(對)한국 왕래와 교류를 추진하는 데 목적이 있다"며 "앞으로 양측의 교류 영역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배너
배너

성남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만나교회·성남월드휴먼브리지 청소년, 청년에게 따뜻한 손길 전해
[아시아통신] 성남시청소년청년재단 성남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5월 9일 만나교회 및 성남월드휴먼브리지와 함께 취약계층 청소년과 청년을 위한 장학금 및 물품 전달식을 진행했다. 성남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다양한 상담 및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 기관으로, ‘1388청소년지원단’ 운영을 통해 지역사회 기관 및 민간단체와 연계하여 위기 청소년을 조기에 발굴하고 맞춤형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이번 전달식은‘1388청소년지단’소속 단체 중 하나인 만나교회와 성남월드휴먼브리지와 함께했다. 만나교회는 올해 1년 동안 10명의 취약계층 청소년들에게 매월 10만원씩 장학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성남월드휴먼브리지에서는 자립을 준비 중인 청년 2명에게 TV와 갤럭시탭을 지원해 안정적인 자립 기반 마련에 도움을 준다. 이번 후원은 총 1,400만 원 상당으로, 청소년과 청년의 안정적인 성장과 자립을 돕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임낙선 성남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장은 “이번 사업에 동참해준 만나교회와 성남월드휴먼브리지에 깊이 감사드린다”며, “민간자원의 꾸준한 협력은 지역사회 청소년 복지의 든든한 버팀목”이라고

시내버스 회사 대출이자, 시민 세금으로 1,013억 원 지원 윤영희 시의원 “올해 또 파업? 시민 공감 어려워”
[아시아통신] 서울시가 시내버스 업계에 지원한 대출 이자만 최근 5년간 1,013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윤영희 서울시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9월까지 280억 원, 2023년 한 해 동안만 395억 원의 대출 이자 지원이 이뤄졌다. 이는 2020년 22억 7천만 원과 비교해 17배 이상 급증한 수치다. 서울시는 버스 준공영제에 따라 매년 운영비를 보조하고 있으나, 지원 규모가 충분하지 않아 시내버스업계(운송수입금공동관리업체협의회)가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고, 시가 대신 원금과 이자까지 상환해온 구조다. 운영비 지원과는 별도로, 이자만 5년간 1천억 원 이상 세금으로 지원한 셈이다. 은행별로는 국민은행 348억 원, 우리은행 325억 원, 농협은행 309억 원, 신한은행 30억 원이 각각 지원됐다. 이자 부담은 매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윤 의원은 “서울시는 매년 시내버스 업계에 예산을 지원해왔지만, 재정 구조가 제대로 정비되지 않으면서 시민 세금으로 대출 이자까지 감당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며 “운영비 지원 외에 대출 이자만 1천억 원이 시민 세금으로 지원된 현실을 시민들이 과연 알고 있을까”라고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