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뉴스

지역산업육성으로 충북산업 경쟁력 키운다

중앙부처 연계 광역산업, 시군 자체 경쟁력강화산업 투트랙 추진, 총 5개 사업에 392억 투입

 

 

 아시아통신 박미영 기자 | 충북도는 충북산업의 경쟁력확보를 위해 중앙부처 연계 광역사업과 시군 경쟁력강화산업 등 두 가지 방향으로 도내 지역산업 육성에 나선다고 밝혔다.

 

 

중앙부처 연계 광역사업은 충북의 핵심 주력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의 K-반도체 전략, K-배터리 전략 등에 부합하는 미래 신산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을 통해 3대 주력산업(지능형IT부품, 바이오헬스, 수송기계소재부품)을 중점 육성하고,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광역단위 경쟁력 확보를 위한 스마트특성화 기반구축사업,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육성사업을 통해 인프라 구축 및 사업화를 추진한다.

 

 

먼저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은 도내 산업 경쟁력 강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중소벤처기업부와 3대 주력산업을 중점 육성하는 사업으로, 도내 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 및 마케팅·시제품 제작·특허 및 인증 등 사업화(비R·D)을 제공하며, 올해에는 연구개발 49개 과제, 사업화 지원 12개과제를 지원할 계획이다.

 

 

둘째로, 국가혁신융복합단지내 지능형첨단부품산업 육성을 통해 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한다.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육성사업’은 지역별 혁신도시나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융복합단지를 지정하고, 단지내 기업대상으로 기술개발, 기업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능형첨단부품산업 분야 입주기업 및 연관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 기업지원, 글로벌 연계, 네트워크 고도화를 지원하며, 올해는 연구개발 6개과제, 사업화 지원 3개 과제를 지원할 계획이다.

 

 

셋째로, 스마트특성화 기반구축사업을 통해 지역의 장비구축 및 고도화 지원을 통해 지역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비수도권 시·도를 대상으로 지역이 보유한 자원과 역량을 활용해 지역산업 고도화와 다각화 및 전환을 추진함으로써 지역에 최적화된 혁신성장 기반을 구축하는 공모사업이다.

 

 

이 사업을 통해 충북도는 국비 150억원을 확보했으며, 모빌리티 전장부품 기능안전 기반구축사업, 천연물기반 의료기기 인증지원 플랫폼 고도화사업을 추진해 지역의 산업 인프라를 확충할 계획이다.

 

 

도는 지난해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을 통해 연구개발 60개 과제, 사업화 지원 156개사,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육성으로 연구개발 6개과제, 사업화 지원 95건, 스마트특성화 기반구축사업은 2개 공모사업 선정됐다.

 

 

이와 함께 시군 자체 산업의 자생적 경쟁력을 확보 할 수 있도록 시군 경쟁력강화산업 육성사업을 추진한다.

 

 

‘시군 경쟁력강화산업 육성사업’은 2021년부터 시군의 균형 있는 발전과 전략적 육성을 위해 시군 단위 산업생태계를 기반으로 지역의 경제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미래유망 선도 신산업을 선정해 중점 육성하는 사업이다.

 

 

올해에도 시군별 유망신산업 과제를 발굴·육성하여 시군 간 산업격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R·D), 비 연구개발(R·D) 22개과제 및 시군 산업거점 육성기반 확충을 위한 산업거점 고도화 패키지 지원사업도 2개소를 추진할 계획이다.

 

 

도는 지난해 시군경쟁력강화산업 육성사업으로 22개과제·시군산업거점 고도화 패키지 2개소를 지원하는 등 기업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다.

 

 

충북도 이용일 산업육성과장은 “지역산업 육성을 통하여 지역 간 산업 격차 해소 및 충북의 경쟁력이 국가경쟁력의 중심축으로 거듭나 코로나19로 침체된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게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정준호 시의원, 서울시 마을버스 관리구조 전면 재검토 촉구
[아시아통신] 최근 마을버스 업체들이 경영난을 호소하며 재정지원 확대를 요구하는 가운데, 서울시의 관리 책임 부족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서울특별시의회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은평4)이 제332회 임시회 교통실 업무보고에서 “구청 위임사무에 대한 서울시의 충분한 관리·감독 부재로 마을버스 재정지원 사업의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예산을 투입하면서도 지원 대상 업체의 경영 건전성을 점검하지 않는다면 재정지원이 제 역할을 할 수 없다”며 “재정지원이 공공성을 확보하려면, 책임 있는 관리·감독 체계 확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준호 의원에 따르면 서울시는 2024년 한 해 동안 91개 마을버스 회사에 총 361억 원을 지원했다. 이 가운데 10억 원 이상 대여금을 보유한 10개 회사가 28억 6,800만 원을 지원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부 회사는 자산의 90% 이상을 대표이사·주주·친인척에게 대여금 형태로 처리한 정황도 확인됐다. 정 의원은 문제의 근본에 사무위임 구조의 허점이 자리한다고 말한다. 「서울특별시 사무위임 조례」에 따라 마을버스 운송사업 등록·사업정지·과징금 부과 등의 관리 권한은 자치구에 위임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