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뉴스

'제2회 경산시 노인복지통계'발간!!

경산시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노인복지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아시아통신 최성수 기자 | 경산시와 동북지방통계청이 지역 어르신들의 삶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한‘제2회 경산시 노인복지통계’를 발간해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이번 노인복지통계는 2020년 12월 31일 기준 주민등록기준 경산시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인구 △주거 △경제활동 △건강․여가 △안전․환경 △복지 △독거노인 △지역생활 만족도 등 총 8개 분야 72개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행정자료를 활용하여 작성하였다.

 

 

통계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면 경산시 노인인구는 44,579명으로 경산시 인구(263,728명)의 16.9%를 차지하며, 2016년(14.1%)에 비해 2.8%P(8,204명)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 ‘20년 경산시 주택소유자는 66,703명으로 그중 노인은 18,872명(28.3%)으로 14,498호를 소유하고 있으며, 그 중 ‘1주택’ 소유자가 17,649명(93.5%)으로 가장 많았다. 거처 유형별로는 ‘아파트’ 소유자가 7,271호(50.2%)로 주택 소유 노인 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토지 소유 노인 수는 11,636명으로 전체 노인인구 대비 26.1%이다.

 

 

경제활동 분야에서는 경산시 노인 '고용률'은 42.1%(취업자 18.5천 명), 고용보험 피보험자는 65,427명이며 이중 노인이 5.7%(3,758명)를 차지하고 있다.

 

 

건강/여가분야에서는 만성질환(7종)중 연간 진료 인원이 가장 많은 질환은 17,771명의 ‘치주질환’이며, 노인 1인당 연간진료비는 정신질환(치매309만 원)이 172만 원으로 가장 많다. 주요 암(6종)에서는 ‘위암’ 433명으로 가장 많고, ‘대장암’ 352명, ‘폐암’ 343명 순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복지(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 등), 독거노인 분야 등에 대한 분석자료도 제공된다.

 

 

최영조 경산시장은 “노인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에 맞추어 발간하는 '경산시 노인복지통계'는 경산시 노인현황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한 맞춤형 통계로 앞으로 노인 문제에 대비하고 고령 세대를 위한 실질적인 노후대책의 근거로 노인복지정책 수립․추진하는데 다방면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제2회 '경산시 노인복지통계'는 경산시 홈페이지 통계자료실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배너
배너


최호정 의장,“예산 우선 순위 겉모습보다는‘기본에 충실한 서울’이 돼야”
[아시아통신]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은 최근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지반침하의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는 노후 상․하수도관 교체에 속도를 내기 위해 향후 5년간 정비 예산 1조 5천억 원을 추가 투자할 수 있도록 재원 마련에 나선다. 최호정 의장은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 지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개정 조례안 2건을 발의, 지반침하로부터 시민 안전을 지키겠다고 밝혔다. 최 의장은 “한정된 예산에 우선순위를 정해야 한다면 공공 기본 인프라 정비가 가장 먼저일 것”이라며, “기본이 바로 서지 않았는데 겉만 화려하게 치장하는 것은 모래 위에 쌓은 성에 불과하다. 겉모습보다는 ‘기본에 충실한 서울’이 돼야 한다. 미래세대 부담이 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노후 시설을 제때 정비해야 한다”라고 조례 개정에 나선 이유를 밝혔다. 이번에 개정 발의한 조례는「서울특별시 수도사업 설치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서울특별시 재난관리기금의 설치 및 운용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다. 상수도의 경우 2040년까지 장기사용 상수도관 약 2,800km 정비(교체)를 계획하고 있으나,‘중기지방재정계획(’25~’29년)’에는 예산 부족 등의 사유로 목표 대비 약 55% 수준의 정비물량을 반영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