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0 (수)

  • 구름많음동두천 31.2℃
  • 구름많음강릉 30.1℃
  • 구름많음서울 33.4℃
  • 구름조금대전 33.1℃
  • 구름조금대구 31.8℃
  • 구름조금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1.5℃
  • 맑음부산 31.8℃
  • 맑음고창 33.2℃
  • 구름많음제주 30.4℃
  • 구름많음강화 30.5℃
  • 맑음보은 30.3℃
  • 맑음금산 31.1℃
  • 맑음강진군 31.7℃
  • 구름조금경주시 32.5℃
  • 맑음거제 29.8℃
기상청 제공

의학/제약

무릎에서 ‘퍽’ 터지는 느낌 받았다면, 연골 파열 의심...정밀검사 받아야

젊은 나이에 연골 손상이 있었다면, 퇴행성 관절염 빨리 올 수 있어...

 

 

<허동범 정형외과 전문의 / 연세스타병원 병원장> 아시아통신 이상욱 기자 | 무릎이 어긋나는 느낌을 받은 40대 직장인 K씨는 무릎을 폈다 구부렸다하면서 그 느낌을 없애기를 반복했다. 무릎에서 나는 소리도 무심코 지나쳤지만 증상은 반복됐고 갑자기 무릎에서 ‘퍽’하는 느낌을 받았고 이틀 뒤에는 뻣뻣해지며 부어 올랐다. 병원을 찾았고 정밀검사를 받은 후에 반월상 연골판 파열 진단을 받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0년 반월상 연골손상 통계에 따르면 162,810명이 병원을 찾았다. 남성은 20대 8,200명, 30대 9,002명, 40대 13,643명, 50대 18,707명이었고, 여성은 40대 10,780명, 50대 31,858명, 60대 31,553명이 병원을 찾았다. 여성이 더 많았지만, 남성도 20대부터 환자 수가 증가했다. 허동범 연세스타병원 병원장(경희대학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외래교수)은 “무릎이 아프면 관절염을 생각하지만 나이가 젊다면 반월상 연골판 손상인 분들이 많을 정도로 가장 흔한 무릎 부상 중 하나다. 신체접촉이 많은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에게 발생 확률이 높다. 무릎에서 ‘퍽’ 터지는 느낌을 받았다면 반월상 연골판 파열을 의심할 수 있다”고 말했다. C자형으로 생긴 반월상 연골판은 무릎 뼈가 만나는 부분에서 충격을 흡수해주는 쿠션작용을 한다. 내측과 외측 반월상 연골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무릎의 통증, 뻣뻣함과 붓기, 무릎이 꺾이는 범위 감소 등이 손상 시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이다. 파열된 상태에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손상된 반월상 연골판에서 소리가 나고 무릎이 움직이지 않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MRI(자기공명영상) 등의 정밀검사를 통해 반월상 연골판 손상 진단이 내려졌다면 손상 정도에 따라 치료방법이 다르다. 바깥 쪽 가장자리가 파열됐고 범위가 적다면 비수술적 치료인 냉찜질과 휴식을 취하면서 진통소염제를 복용하는 치료 방법을 시행한다. 비수술적 치료로 증상이 지속되거나, 파열 범위가 넓다면 관절경 수술을 진행해야 한다. 무릎 관절 내시경 수술은 보편적 수술방식으로 파열된 반월상 연골판의 절제 또는 봉합을 통해 치료를 한다. 수술 후 재활이 중요하다. 무릎 관절의 운동 범위를 복원 시키고 근력을 강화하는 재활치료에 집중해야 한다. 허동범 정형외과 전문의(연세스타병원 병원장)는 “반월상 연골판 손상은 수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수술 후 5일에서 7일이면 일상 복귀가 가능하고 재활치료를 2개월간 꾸준히 받는다면 축구, 농구 등의 스포츠도 즐길 수 있다. 다만 젊을 때 반월상 연골판, 십자인대 손상 등으로 무릎을 다쳤거나 다친 경험이 있는 분들은 비교적 젊은 나이에 퇴행성 관절염이 올 수 있기 때문에 관절 건강 관리를 꾸준히 해야 한다는 점을 반드시 기억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2020년 반월상 연골손상 통계 _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배너
배너


김연균 의정부시의회 의장, 경기도시·군의회의장협의회 대변인으로 선임
[아시아통신] 김연균 의정부시의회 의장이 지난 28일 양주시 경기섬유종합지원센터 1층 컨벤션홀에서 열린 제178차 경기도시‧군의회의장협의회 정례회의에서 대변인으로 선임됐다. 경기도시‧군의회의장협의회는 도내 31개 시‧군의회 의장들로 구성된 협의체로, 지방의회의 공동 현안을 논의하고 상생 방안을 모색하며, 자치분권 강화를 위한 협력과 연대를 목적으로 정례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협의회 운영 전반에 관한 주요 안건이 논의됐으며, 신임 사무총장과 대변인 선출이 함께 이뤄졌다. 김연균 의장은 도내 각 지방의회 간의 원활한 소통과 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대변인으로 선출되어 앞으로 협의회의 공식 입장을 대외적으로 전달하고, 도민과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김연균 대변인은 제9대 의정부시의회 후반기 의장으로, 장암동, 신곡1‧2동, 자금동을 지역구로 두고 있다. 평소 시민과의 소통을 최우선으로 삼고 현장 중심 의정활동을 꾸준히 이어오며, 주민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다. 이번 선임과 관련해 김 대변인은 “경기도를 대표하는 협의체의 대변인으로서 막중한 책임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