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제약 추석 명절 후 아픈 무릎. 관절염 진행에 따라 치료방법이 다르다
거리두기 없는 첫 명절. 지난 4월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이후 민족 대명절인 추석이 다가온다. 집에서는 오랜만에 만나는 가족 친지들 생각에 추석맞이 준비로 바쁘다. <허동범 연세스타병원 병원장/정형외과 전문의> 딱딱한 바닥에 신문지 등을 깔고 앉아서 오랜 시간 같은 자세로 쪼그려 앉아 음식을 하다 보면 무릎, 허리, 손목 안 아픈 곳이 없다. 정신없이 일하다 일어서면 ‘아이고’ 소리가 절로 나온다 명절 내 과도한 가사노동으로 육체적 피로가 누적되고 평소 참을만했던 무릎 통증도 더 예민해지고 심해지는데 매년 명절이 지나고 찬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퇴행성 무릎 관절염 환자 수가 늘어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작년 2021년 추석 전후 9월, 10월 환자 수가 2021년 9월 863,435명에서 10월 901,497명으로 약 38,000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퇴행성 무릎 관절염은 무릎 관절 사이에서 뼈와 뼈가 마찰하는 것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해주는 연골(물렁뼈)이 퇴행성 변화로 인해 손상되어 염증 및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남성보다 여성이 발병률이 2배 높고 특히 50대 이후 폐경기를 겪은 여성에게서 자주 나타난다. 허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