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토)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포토뉴스

《군주론》의 핵심


“‘인간이 어떻게 살고 있는가’는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와는 너무나 다르기 때문에,일반적으로 행해지는 것을 행하지 않고,
마땅히 행해야 할 것을 행해야 한다고 고집하는 군주는 권력을 유지하
기보다는 잃기가 십상입니다.”

니콜로 마키아벨리 저(著) 《군주론》강정인 김경희 공역(共譯)
(까치, 109-110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히틀러, 무솔리니, 스탈린 등 희대의 독재자들이 탐독했다던 ‘악마의
책’, 하버드와 MIT 필독서, 타임지와 뉴스위크가 선정한 가장 영향력
있는 100대 도서. 우리 나라에서도 청소년 권장 도서인 《군주론》.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키케로 등 많은 철학자와 사상가들이 정치가 무
엇인가, 좋은 국가란 무엇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해왔습니다. 즉 서양에
서는 중세에 이르기까지 정치학은 곧 윤리학이었습니다.

 

 

그러나 마키아벨에 따르면

사람이 지금 ‘어떻게 살고 있는가’의 문제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의

문제와 분명 다르다고 하며, 군주는 관념적 이상이
아니라 현실적 ‘진상’을 이해하고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 《군주론》의
핵심관점입니다. 그리하여 마키아벨리는 서양에서 정치학을 윤리학에서
분리시킨 최초의 사상가입니다.  그리하여 마키아벨리에 의하면

군주란 도덕적 군자가 아니라, 냉혹하고 복잡한 현실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
량이 군주의 기본임무이며 정치의 근본임을 설파합니다.

 

 

구약 남유다의 3대왕 아사는 두 번의 큰 전쟁을 다 승리합니다. 구스 왕
세라가 백만 대군을 거느리고 침공했을 때, 아사 왕은 기도하며 주님의
도움 속에 승리합니다. 그러나 북왕국 바아사가 침공했을 때는 기도하는
대신에 아람 왕에게 예물을 주고 그의 힘을 의지하여 승리합니다. 마키
아벨리가 이 장면을 보았으면 군주다운 모습이라며 박수를 쳤을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렇지 않으셨습니다. 선지자를 보내어 하나님을
의지하지 않은 것을 책망했습니다. 그러자 아사왕은 선지자를 가두어
버렸습니다(대하16:7-10). 하나님 없이도 승리할 수 있다는 교만에 빠진
아사는 발에 병이 났을 때도 하나님을 의지하지 않고 의원만 찾았습니다.
“아사가 왕이 된 지 삼십구 년에 그의 발이 병들어 매우 위독했으나
병이 있을 때에 그가 여호와께 구하지 아니하고 의원들에게 구하였더
라.” (대하16:12)

 

 

아사왕은 결국 발병을 고치지 못하고 비참하게 죽었습니다.
하나님은 세상 사람들이 아무리 마키아벨리적이라 할지라도, 성도들은
성경의 가치관, 믿음의 법칙으로 빛과 소금의 삶을 살기를 기대하십니다.
 

 

“세상을 이기는 승리는 이것이니 우리의 믿음이니라.” (요일5:4b)

<강남 비전교회 / 한재욱 목사>

 

 

 

배너
배너


수원특례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사람과 반려동물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도시 연구회’연구용역 착수
[아시아통신] 수원특례시의회 내 연구단체인 ‘사람과 반려동물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도시 연구회’가 5월 2일 문화체육교육위원회 회의실에서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김소진 대표의원을 비롯해 이재선 의원, 정영모 의원, 현경환 의원, 수원시 관련부서 및 용역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하여 반려동물과 사람 모두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도시 환경 조성을 위한 반려동물 친화 도시 공존 거버넌스 구축 연구 방향에 대해서 논의했다. 이번 연구는 ▲수원특례시 내 반려동물 인프라 현황 분석 ▲국내외 반려동물 정책 및 조례 비교 ▲반려인과 비(非)반려인의 인식 개선 방안 ▲사회적 고립 해소 및 생명존중 문화 확산을 위한 정책 제안 등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김소진 대표의원은 “이번 연구는 단순한 동물 보호를 넘어 복지의 개념으로 확장된 정책 패러다임을 수립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며 “사람과 동물이 함께 사는 따뜻한 도시, 수원특례시의 미래상을 그려갈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회는 김소진 대표의원(국민의힘, 율천·서둔·구운·입북)외 배지환 의원(국민의힘, 매탄1·2·3·4), 이재선 의원(국민의힘,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