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토)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포토뉴스

인문학은 굉장히 실용적

 

 

<전북 임실군, "임실 치즈테마파크 국화축제의 향연">  김광부 기자

 

“많은 분들이 ‘인문학’ 하면 ‘문사철’을 떠올리는데,이것은 18
세기 이후의 발전입니다. 그러나 원래 인문학은 대학의 문사철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그 사회나 조직의 리더를 기르기 위한 방편이었습니다.”

김상근 저(著) 《인문학으로 창조하라》 (멘토, 30쪽) 중에 나오는 구
절입니다.

 

 

 

<전북 임실군, "임실 치즈테마파크 국화축제의 향연">  김광부 기자

 

중세시대를 지배했던 스콜라 철학은 신(神)에 대한 철학이었습니다.
일반 사람들, 특히 이탈리아 상공인들에게는 그 효용성이 피부로 느껴
지지 않았습니다. 상공인들은 사업을 하며 부를 축적하는 데 있어서,
또한 영주들은 자신의 영토를 잘 다스리기 위해서 진짜로 필요한 것들이
무엇일까 생각하였습니다. 이에 신의 학문이 아닌 인간을 위한 학문인
인문학 ‘스투디아 후마니타티스(Studia Humanitatis)’에 주의를 기울
이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렇듯 인문학은 어떻게 보면 사업하는 사람들,
사회의 리더 같은 사람들이 반드시 공부해야 할 주제였던 것입니다.

 

 

 

<전북 임실군, "임실 치즈테마파크 국화축제의 향연">  김광부 기자

 

당시에는 지금처럼 처세술 및 실용서 같은 책들이 없었습니다. 읽을 수
있는 것은 고전이었습니다. 그래서 그리스와 로마 시대의 고전을 읽어
보니 그 속에는 놀라운 지혜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신흥 상공인이나 영
주들이 자기 자녀들에게 고전 공부를 시키기 시작했습니다. 대학에서
가르쳐 주지 않으니까 유능한 학자들을 집으로 초청했습니다. 예컨대
메디치 가문 같은 경우에는 마르셀리오 피치노, 피코 델라 밀란도라
같은 사람들을 초청해서 자녀들에게 고전을 읽힌 겁니다. 이 고전들을
읽은 자녀들은 놀라운 인문학적 성찰을 얻었습니다.

 

 

 

<전북 임실군, "임실 치즈테마파크 국화축제의 향연">  김광부 기자

 

즉, 오늘날 인문학을 대표하는 문학/역사/철학은 18세기, 19세기 생긴
개념이고 이전에 있던 개념의 인문학, ‘스투디아 휴마니타티스’란 개
념은 살아남기 위한, 성장과 지속을 위한 치열한 방책이었습니다.
인문학은 창의력과 공감력을 줍니다. 세계적인 CEO들은 공통적으로
깊은 독서를 통한 인문학적 통찰이 가득합니다. 이러한 통찰력이 현실을
헤쳐나가는 힘입니다. 그러나 인문학은 죄사함과 죽음, 천국 등 인간
에게 가장 소중한 ‘영원’에 대한 답을 주지는 못합니다.  
따라서 성경을 기반으로 한 인문학적 통찰력을 같이 갖출 때 최상의
칼과 방패가 됩니다.
 

 

 

<전북 임실군, "임실 치즈테마파크 국화축제의 향연">  김광부 기자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니” (딤후3:16)

<강남 비전교회 / 한재욱 목사>

 

 

 

<전북 임실군, "임실 치즈테마파크 국화축제의 향연">  김광부 기자

 

 

<전북 임실군, "임실 치즈테마파크 국화축제의 향연">  김광부 기자

 

 

 

배너
배너


수원특례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사람과 반려동물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도시 연구회’연구용역 착수
[아시아통신] 수원특례시의회 내 연구단체인 ‘사람과 반려동물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도시 연구회’가 5월 2일 문화체육교육위원회 회의실에서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김소진 대표의원을 비롯해 이재선 의원, 정영모 의원, 현경환 의원, 수원시 관련부서 및 용역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하여 반려동물과 사람 모두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도시 환경 조성을 위한 반려동물 친화 도시 공존 거버넌스 구축 연구 방향에 대해서 논의했다. 이번 연구는 ▲수원특례시 내 반려동물 인프라 현황 분석 ▲국내외 반려동물 정책 및 조례 비교 ▲반려인과 비(非)반려인의 인식 개선 방안 ▲사회적 고립 해소 및 생명존중 문화 확산을 위한 정책 제안 등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김소진 대표의원은 “이번 연구는 단순한 동물 보호를 넘어 복지의 개념으로 확장된 정책 패러다임을 수립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며 “사람과 동물이 함께 사는 따뜻한 도시, 수원특례시의 미래상을 그려갈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회는 김소진 대표의원(국민의힘, 율천·서둔·구운·입북)외 배지환 의원(국민의힘, 매탄1·2·3·4), 이재선 의원(국민의힘,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