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부여, "천만송이 연꽃이 피어나는 부여 궁남지"> 김광부 기자
“시를 대하는 태도에는 정답도 오답도 없습니다. 다만 한 가지 말씀
드릴 수 있는 것은 시는 ‘이해받고 싶어하는 장르’가 아니라는 겁니
다. 그러니 당신이 시를 앞에 두고 이해하고 싶어하거나 이해할 수 없어
괴로워한다면, 아예 처음부터 다르게 접근해보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중략). 부디 시를 빵처럼 씹고, 커피처럼 마셔보세요. 맛이 없으면 뱉
으면 됩니다. 당신의 입맛에 맞는 시가 분명히 있을 거예요.”
박연준 저(著) 《쓰는 기분》 (현암사, 48-51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충청남도 부여, "천만송이 연꽃이 피어나는 부여 궁남지"> 김광부 기자
시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부담이 됩니다. 유명한 시를 이해하지 못한
다고 슬퍼할 필요도 없습니다. 시는 이해받고 싶어하는 장르가 아닙니
다. 시를 빵처럼 씹고, 커피처럼 마셔보면 좋습니다. 내 입맛에 맞지
않으면 뱉으면 됩니다. 커피 맛도 처음엔 쓰다고 합니다. 그러나 계속
마시다 보면 정말 최고입니다. 커피처럼 서서히 입맛에 맞는 시가 분
명히 있을 것입니다. 그런 시를 읽으면 됩니다. 그러다가 서서히 읽는
지경을 넓혀 가면 됩니다.
<충청남도 부여, "천만송이 연꽃이 피어나는 부여 궁남지"> 김광부 기자
시를 읽고 느끼는 것은 성경을 읽는 데 좋은 도움이 됩니다. 구약 성
경은 거의 1/3에 해당하는 부분이 시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
다. 오경과 역사서의 대부분이 산문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시 형식도
많습니다. 시가서(욥기, 시편, 잠언, 전도서, 아가서, 예레미야 애가)는
말할 것도 없고 선지서의 상당 부분도 시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선지자들의 예언이 대부분 시 형식으로 전해졌습니다.
<충청남도 부여, "천만송이 연꽃이 피어나는 부여 궁남지"> 김광부 기자
하나님은 시를 좋아하시는 하나님이시고,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을
받은 인간이기에 우리도 시를 좋아합니다. 산문으로 전달해야 하는 말
씀이 있고, 시로 전달해야만 되는 말씀도 있습니다.
시를 읽고 느끼는 것은 성경을 읽는 데 좋은 도움이 됩니다.
<충청남도 부여, "천만송이 연꽃이 피어나는 부여 궁남지"> 김광부 기자
“우리가 감사함으로 그 앞에 나아가며 시를 지어 즐거이 그를 노래
하자.” (시95:2)
<강남 비전교회 / 한재욱 목사>
<충청남도 부여, "천만송이 연꽃이 피어나는 부여 궁남지"> 김광부 기자
<충청남도 부여, "천만송이 연꽃이 피어나는 부여 궁남지"> 김광부 기자
<충청남도 부여, "천만송이 연꽃이 피어나는 부여 궁남지"> 김광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