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남산골 한옥마을 여름(배롱나무)"> 김광부 기자
“거대한 고통,시간을 끌대로 끌면서 아주 천천히 그리고 길게 우리를
괴롭히는 고통,마치 생나무 장작불 위에서 불태워지는 것과 같은 고통,
오직 이러한 고통만이 우리 철학자들로 하여금 우리의 가장 깊은 곳에
이르게 강요할 것이다.”
프리드리히 니체 저(著) 곽복록 역(譯) 《즐거운 지식》
(동서문화사, 151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서울 중구, "남산골 한옥마을 여름(배롱나무)"> 김광부 기자
니체에 의하면, 어느날 무료해서 진리 찾기를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다가온 깊은 고통, 마치 생나무 장작불 위에서 불태워지는
것과 같은 고통 앞에서 진리 찾기에 대한 사유는 시작된다는 것입니다.
옷에 불이 붙으면, 화들짝 놀라 옷을 벗으며 불길을 던져 버리듯이,
그런 절실함 속에 손에 잡히는 생각이 철학적 지식으로 이어진다는 것
입니다.
<서울 중구, "남산골 한옥마을 여름(배롱나무)"> 김광부 기자
철학자도 고난 속에서 깊은 철학적 지식이 탄생하나 봅니다.
그리스도인을 포함하여 누구나 고난을 싫어합니다. 그러나 너무나 역설
적으로 고난 속에서 깨닫고 배우는 것이 가장 짙습니다.
<서울 중구, "남산골 한옥마을 여름(배롱나무)"> 김광부 기자
“고난 당한 것이 내게 유익이라. 이로 인하여 내가 주의 율례를 배우게
되었나이다.” (시119:71)
<강남 비전교회 / 한재욱 목사>
<서울 중구, "남산골 한옥마을 여름(배롱나무)"> 김광부 기자
<서울 중구, "남산골 한옥마을 여름(배롱나무)"> 김광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