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원가계 "수백 개의 봉우리와 기암절벽은 한 폭의 동양화"> 김광부 기자
“마치 무지개를 구성한 하나의 물방울이 아무리 교체되더라도 무지개
자체는 여전히 남아 있는 것처럼,아무런 영향도 받지 않고 한결같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강용수 저(著)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 (유노북스, 87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중국 원가계 "수백 개의 봉우리와 기암절벽은 한 폭의 동양화"> 김광부 기자
쇼펜하우어는 우리 삶을 무지개에 비유했습니다. 무지개 속의 물방울
하나하나가 우리의 삶이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무지개 물방울이 하나
사라진 데서 무지개가 바뀌지 않듯이 세상은 바뀌는 게 하나도 없다고
합니다. 이 우주를 가득 채운 ‘삶에의 의지’를 가진 각 개체들은 수
많은 씨를 뿌리며 종족을 보존하면서, 개인의 죽음에 아무런 타격을
받지 않습니다. 물방울이 사라져도 무지개가 변하지 않듯이 나의 죽음
으로 세상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다는 것이 허무입니다.
<중국 원가계 "수백 개의 봉우리와 기암절벽은 한 폭의 동양화"> 김광부 기자
어느 누구가 죽는 날에도 버스와 지하철은 여전히 달릴 것이며, 스타
벅스의 커피도 계속 잔을 비울 것입니다. 이것이 삶의 허무입니다.
사는 것도 죽은 후에도 허무입니다. 예수님을 영접하여 하나님의 자
녀가 되어 영원에 잇대은 삶을 살지 않는 한, 우리들의 삶은 아무리
웃고 포장해 보아도, ‘허무’라는 알맹이를 벗어날 수가 없습니다.
<중국 원가계 백룡엘리베이터, "높이가 335미터인 세계 제일의 관광 전용 엘리베이터"> 김광부 기자
“네가 어찌 허무한 것에 주목하겠느냐?” (잠23:5)
<강남 비전교회 / 한재욱 목사>
<중국 원가계 "수백 개의 봉우리와 기암절벽은 한 폭의 동양화"> 김광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