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공주,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태화산 마곡사 가을"> 김광부 기자
“폴 하비는 땅이 꽁꽁 얼어붙은 북극에 사는 에스키모인들이 어떻게
늑대를 잡는지를 이야기해 준 적이 있다. 그들은 면도칼처럼 날카로운
칼에 피를 흠뻑 묻힌 다음 칼을 얼려서 날카로운 칼날이 위쪽을 향하게
얼어붙은 땅속에 칼의 손잡이를 박아 놓으면 피 냄새를 맡은 늑대들이
와서 칼날을 핥는다. 얼어서 무감각해진 늑대의 혓바닥은 어느새 날카
로운 칼끝을 핥기에 시작한다. 자신의 피를 흘리기 시작한 늑대는 그
피에 끌려 더욱더 빠른 속도로 계속해서 칼날을 핥는다.
죽음에 이를 때까지 … … ”
지그 지글러 저(著) 이구용 역(譯) 《시도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 (도서출판 꿈나무, 14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충청남도 공주,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태화산 마곡사 가을"> 김광부 기자
폴 하비는 늑대 사냥과 알콜 중독 사이의 공통점을 말합니다.
“마약과 알코올은 처음에는 사람들에게 쾌감을 느끼게 하지만 그 쾌
감에 빠져들고 그렇게 시작된 쾌락의 탐닉은 서서히 그들의 감각마저
잃게 한다. 그리고 그럴수록 마약의 효력은 점점 더 떨어지게 되면 마
침내 복용자는 더욱더 강도 높은 마약을 찾아 헤매게 된다. 결국 그들은
헤어날 수 없는 중독이라는 ‘낚싯바늘’에 꿰이게 된다.” (14-15쪽)
<충청남도 공주,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태화산 마곡사 가을"> 김광부 기자
에스키모의 늑대와 마약 중독자는 노력은 적게 하면서 많은 것을 얻으려
하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진정한 성공의 법칙은 ‘많이 주고,많이
베풀고,많이 노력하는 것’입니다.
땀 흘린 뒤의 기쁨은 약물 등의 저질의 기쁨과는 비교할 수 없습니다.
<충청남도 공주,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태화산 마곡사 가을"> 김광부 기자
“눈물을 흘리며 씨를 뿌리는 자는 기쁨으로 거두리로다.” (시126:5)
<강남 비전교회 / 한재욱 목사>
<충청남도 공주,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태화산 마곡사 가을"> 김광부 기자
<충청남도 공주,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태화산 마곡사 가을"> 김광부 기자
<충청남도 공주,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태화산 마곡사 가을"> 김광부 기자
<충청남도 공주,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태화산 마곡사 가을"> 김광부 기자
<충청남도 공주,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태화산 마곡사 가을"> 김광부 기자
<충청남도 공주,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태화산 마곡사 가을"> 김광부 기자
<충청남도 공주,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태화산 마곡사 가을"> 김광부 기자
<충청남도 공주,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태화산 마곡사 가을"> 김광부 기자
<충청남도 공주,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태화산 마곡사 가을"> 김광부 기자
<충청남도 공주,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태화산 마곡사 가을"> 김광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