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영화와 소설

 

 

봉30.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이효석 문학관)">  김광부 기자 

 

“소설로 읽을 때는 내 멋대로 상상하던 인물이 영화에서는 배우의 얼

굴로 고정됩니다. 우리가 상상하던 공간 역시 미술감독의 뜻에 따라 재

현되고 그 안으로 제한됩니다. 이런 특성을 폴 오스터는 이차원과 삼차

원의 경험으로 비유하고 있습니다.”

 

김영하 저(著) 《말하다》(문학동네, 2015, 156쪽) 중에 나오는 구절

입니다.

 

봉25(보도).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이효석 문학관)">  김광부 기자 

 

영화의 감동과 아름다움은 헤아릴 수 없이 큽니다. 더군다나 디지털 기

술의 발달로 영화의 세계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그러나 소설도 여전히

장점이 있고 감동이 있습니다.  

 

봉28(보도).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이효석 문학관)">  김광부 기자 

 

“영화는 평면에 투사되는 이미지이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이차원이라는

것입니다(중략). 반면 소설은 평면이 아닌 삼차원적 공간,상상적 세

계로 우리를 안내합니다. 소설을 읽을 때마다 우리는 ‘지금,여기’가

아닌 ‘어딘가 다른 세상’에 가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봉32(보도).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이효석 와상)">  김광부 기자 

 

 그곳은 19세기 러시아의 궁정일 수도 있고,

뉴질랜드 근처의 무인도일 수도 있고,

플로리다의 어촌일 수도 있지만,실은 그 어느 곳도 아닌,우리 마

음속에서 스스로 만들어낸 가상의 공간일 뿐입니다.”(156쪽)

 

봉34(보도).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이효석 문학관)">  김광부 기자 

 

인공지능 기계는 점점 생각하고 있고, 사람은 생각을 잃고 있습니다.

잘 기억하지도 못하고, 긴 글을 집중해서 읽지도 못하고, 고요하게 사

색하지도 못하고, 상상력과 창의성은 약화 되고, 상황 판단의 능력마저

떨어져 가는 사람이 되어갑니다.

 

봉35.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문학관 전시실)">  김광부 기자 

 

 아날로그의 상징과 같은 ‘소설’은

이런 상황에 있는 우리에게 상상력을 더 해 줍니다. 그러기에 아무리

디지털이 발달해도 아날로그는 영원히 살아 있을 것입니다.

디지털 세계 속에서 신앙만큼은 더욱더 아날로그적이 되어야 합니다.

하나님께 무릎꿇어 묻고 또 묻고....

 

봉36.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문학관 전시실)">  김광부 기자 

 

“예수께서 힘쓰고 애써 더욱 간절히 기도하시니 땀이 땅에 떨어지는

핏방울 같이 되더라.” (눅22:44)

<강남 비전교회 / 한재욱 목사>

 

봉37.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문학관 전시실)">  김광부 기자

 

봉45(보도).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  김광부 기자 

 

봉47.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  김광부 기자 

 

봉50.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  김광부 기자 

 

봉58(보도).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  김광부 기자 

 

봉60(보도).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  김광부 기자 

 

봉63(보도).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  김광부 기자 

 

봉65(보도).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  김광부 기자 

 

봉76(보도).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  김광부 기자 

 

봉69.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  김광부 기자 

 

봉70(보도).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  김광부 기자 

 

 

 

배너
배너


화성특례시의회 의원, ‘진안 공동주택지구 열병합발전소 건립' 반대 결의
[아시아통신] 화성특례시의회 이해남·오문섭 의원 등 15인은 2025년 5월 8일, 진안 공동주택지구 내 열병합발전소 건립 계획과 관련해 지역사회에 미칠 영향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며, 신중한 재고를 촉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했다. 이날 결의문 발표에는 지역구 의원인 이해남 의원 및 오문섭 의원을 비롯한 송선영·박진섭·김영수·배정수·전성균·유재호·김상균·명미정·정흥범·이용운·장철규·조오순·위영란 의원이 참석하여, 반월동 주민들의 건강과 안전, 그리고 쾌적한 생활환경 보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해남 의원은 “열병합발전소는 대기오염, 소음, 진동 등 다양한 환경적 부담을 동반할 뿐만 아니라, 인근 초등학생과 대규모 아파트 단지 주민들의 안전까지도 위협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반월동은 이미 공업단지와 물류시설로 인한 환경적 어려움을 오랜 기간 겪어온 지역”이라며, “이러한 상황에서 추가적인 환경 부담시설의 설치는 주민의 생존권과 환경적 형평성에 심각한 침해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오문섭 의원은 “최근 진안 공공택지지구 내 반월동에 추진되고 있는 열병합발전소 건립 계획이 주민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