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대덕구 장동, "삼국시대 테뫼식으로 축조된 백제의 성곽, 산성(계족산성: 높이 399m)"> 김광부 기자
“지도를 펴보자. 산봉우리에는 이름이 있지만, 모래 언덕에는 이름이
없다. 모래 언덕에 이름을 지어 붙인다 해도, 그 이름을 인쇄한 잉크가
채 마르기도 전에 그 지도는 이미 구식이 되어 못 쓰게 될 것이다. 그
런데도 우리는 종종 지도와 여행 안내서를 들고 우리 인생의 사막을 건
너기 시작한다.”
스티브 도나휴 저(著) 고상숙 역(譯) 《사막을 건너는 여섯 가지 방법》
(김영사, 37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대전시 대덕구 장동, "삼국시대 테뫼식으로 축조된 백제의 성곽, 산성(계족산성: 높이 399m)"> 김광부 기자
탐험가들의 말에 의하면 사막에서 지도(地圖)가 의미가 없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강한 모래 폭풍이 한번 불면 모든 지형이 변하기 때문
입니다. 따라서 사막에서는 지도보다는 나침반이라고 합니다.
<대전시 대덕구 장동, "삼국시대 테뫼식으로 축조된 백제의 성곽, 산성(계족산성: 높이 399m)"> 김광부 기자
“사막을 건너다 보면 어느 날 또는 어떤 단계에서 어떤 특정한 규칙이
다른 규칙들보다 더 중요해진다...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번째 규칙은
‘지도를 따라가지 말고 나침반을 따라가라’ 이다.”(101-109쪽)
<대전시 대덕구 장동, "삼국시대 테뫼식으로 축조된 백제의 성곽, 산성(계족산성: 높이 399m)"> 김광부 기자
인생도 그러합니다. 아무리 철저한 계획을 세워 놓은다 할지라도 고
난의 폭풍이 한 번 불고 나면 세워놓은 모든 계획과 지도가 허망해지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세상 살이에는 변하지 않는 나침반 같은 진리가
필요합니다.
<대전시 대덕구 장동, "삼국시대 테뫼식으로 축조된 백제의 성곽, 산성(계족산성: 높이 399m)"> 김광부 기자
구약성경에서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극적으로 보여준 가장 아름다운
예가 바로 이 구름기둥과 불기둥을 통한 인도입니다. 광야 길을 걷던
이스라엘 백성들은 구름기둥 불기둥이 움직이면 같이 가고 멈추면 같이
멈추는 등 그 기둥들이 움직이는 대로 따라가면 되었습니다. 지금은
구름기둥 불기둥 대신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주셨습니다.
혼돈스럽고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 변하지 않는 나침반 같은 진리는 성
경입니다.
<대전시 대덕구 장동, "삼국시대 테뫼식으로 축조된 백제의 성곽, 산성(계족산성: 높이 399m)"> 김광부 기자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니” (딤후3:16)
<강남 비전교회 / 한재욱 목사>
<대전시 대덕구 장동, "삼국시대 테뫼식으로 축조된 백제의 성곽, 산성(계족산성: 높이 399m)"> 김광부 기자
<대전시 서구 장안로, "계족산 황톳길 연못"> 김광부 기자
<대전시 서구 장안로, "계족산 황톳길"> 김광부 기자
<대전시 서구 장안로, "계족산 황톳길 쉼터"> 김광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