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인제, "새도 힘들어 쉬어 넘는다는 조침령(원시상태 그대로의 계곡)"> 김광부 기자
“연민은 변하기 쉬운 감정이다.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면,이런 감
정은 곧 시들해지는 법이다.”
수전 손택 저(著) 이재원 역(譯) 《타인의 고통》(이후, 153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강원도 인제, "새도 힘들어 쉬어 넘는다는 조침령(원시상태 그대로의 계곡)"> 김광부 기자
‘대중 문화의 퍼스트레이디’ 등 숱한 별명을 지닌 세계적인 여류 작가
수전 손택은 지성계에 폭탄을 던지는 존재입니다. 그녀는 ‘타인의 고
통’을 감정적인 연민의 차원에서만 바라본다면 “나는 당신의 고통의
원인에 연류 되어 있지 않아요.” 하는 자기 합리화라고 지적합니다.
<강원도 인제, "새도 힘들어 쉬어 넘는다는 조침령(원시상태 그대로의 계곡)"> 김광부 기자
즉 연민은 우리의 무고함(“우리가 저지른 일이 아니다”)까지 증명해
주는 알리바이가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연민이 아닌 공감이 필요한
시대라고 하였습니다.
“연민이 내 삶을 파괴하지 않을 정도로만 남을 걱정하는 기술이라면,
공감은 내 삶을 던져 타인의 고통과 함께하는 삶의 태도다.”
<강원도 인제, "새도 힘들어 쉬어 넘는다는 조침령(원시상태 그대로의 계곡)"> 김광부 기자
예수님은 우리 인간이 겪고 있는 죄의 고통을 연민의 차원으로 바라보지
않으셨습니다. 이 땅에 직접 내려오셔서 우리와 함께 울고 웃음으로 우
리를 공감하였고, 십자가에 달리심으로 사랑을 완성하셨습니다.
<강원도 인제, "새도 힘들어 쉬어 넘는다는 조침령(원시상태 그대로의 계곡)"> 김광부 기자
“자녀들아 우리가 말과 혀로만 사랑하지 말고 행함과 진실함으로 하
자.” (요일3:18)
<강남 비전교회 / 한재욱 목사>
<강원도 인제, "새도 힘들어 쉬어 넘는다는 조침령(원시상태 그대로의 계곡)"> 김광부 기자
<강원도 인제, "새도 힘들어 쉬어 넘는다는 조침령(원시상태 그대로의 계곡)"> 김광부 기자
<강원도 인제, "새도 힘들어 쉬어 넘는다는 조침령(원시상태 그대로의 계곡)"> 김광부 기자
<강원도 인제, "새도 힘들어 쉬어 넘는다는 조침령(원시상태 그대로의 계곡)"> 김광부 기자
<강원도 인제, "새도 힘들어 쉬어 넘는다는 조침령(원시상태 그대로의 계곡)"> 김광부 기자
<강원도 인제, "새도 힘들어 쉬어 넘는다는 조침령(원시상태 그대로의 계곡)"> 김광부 기자
<강원도 인제, "새도 힘들어 쉬어 넘는다는 조침령(원시상태 그대로의 계곡)"> 김광부 기자
<강원도 인제, "새도 힘들어 쉬어 넘는다는 조침령(원시상태 그대로의 계곡)"> 김광부 기자
<강원도 인제, "새도 힘들어 쉬어 넘는다는 조침령(원시상태 그대로의 계곡)"> 김광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