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4 (목)

  • 맑음동두천 11.7℃
  • 맑음강릉 17.4℃
  • 맑음서울 13.2℃
  • 구름많음대전 13.1℃
  • 구름많음대구 19.1℃
  • 흐림울산 19.1℃
  • 흐림광주 14.0℃
  • 흐림부산 14.6℃
  • 흐림고창 10.1℃
  • 흐림제주 15.8℃
  • 맑음강화 12.1℃
  • 구름많음보은 13.0℃
  • 구름많음금산 12.9℃
  • 흐림강진군 15.1℃
  • 흐림경주시 20.7℃
  • 흐림거제 17.4℃
기상청 제공

카메라고발

수원시 거주자 우선주차제 운영, 내집 앞 주민 이기주의 여전

-단속은 뒷전 속 주민의식은 대장행세

KakaoTalk_20230526_230220433.jpg

▲거주자 우선주차 안내

 

거주자 우선주차제도의 시행은 주차난 해소를 위해 지방자치 단체에서 주택가나 상가지역 생활도로의 일부분을 주변거주민 또는 근무자에게 소정의 주차료

를 내고 주차를 하는 제도로 1997년 서울 시가 처음 도입 했으며 이후 각 지역 지자체에서도 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는 제도이다.

 

우선 주차는 주간,야간, 전일제로 운영하고 있으며  수원도시공사에서는 18시이후에서 다음날 09시까지 주차를 신청한 주민에게 주차를 허용한다.

 

주차허용 시간을 제외한 시간에는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수 있도록 한 것 이 수원시 시행 제도이다.

 

하지만 현실은 거주자 주자허용 시간외에도  타 차량은 주차하지 못하도록 방해 하는 거주자가 상당히 있는 것으로 취재결과 밝혀 졌다.

 

이는 거주자와 근무자들의 편의와 주차 환경을 개선 하려는 지자체의 제도를 일부 거주자가 이를 악용하는 사례로 볼수 있다.

 

우선 주차 거주자가  주차 허용시간 외 출근과 이동시에는 항상 타 차량이 주차를 하지 못하도록 여러 부유물을 세워 놓으므로써 주차 방해를 하는 이기적

시민의식을 가진 거주자가 부지기수로 존재 하고 있다.

 

 

주차 이기주의2.png

                                                                            ▲타 차량 주차를 방해하는 부유물 적치                                                                                                                                                               

시내 곳곳 어디를 가도 흔하게 볼수 있는 비양심적인 개인이기주의는 다반사로 볼수 있는 것이 수원시의 현실이다.

 

 

KakaoTalk_20230526_224754106.jpg

▲ 시민의 눈에는 흔히 보이지만,  시ㆍ에서는 보이지 않는 시선,  바라보기 불쾌한 주차 의식수준

 

 하지만 수원시에서는 단속은 손을 놓고 있는 듯 하다. 같은 지역을 지속적으로 관찰해 봤지만 단속의 그림자도 찿아보기 힘들다.

 

같은 수원시민이지만 주차권리를 누리는건 이기적인 거주자만 누리는건 부당하다 아니할 수 없다.

 

수원시는 주차 정책을 바꾸든 단속으로 잘못된 시민의식을 선도 하든 적극나서야 할것이며 마냥 손을 놓고 있는 사이 지역 이면에는 운전자의 눈총과 거주자와 외부 이용자간 다툼이 일어남에도 

언제까지 방관만 하고 있을지  시민의 눈총이 따갑지도 않은 모양이다.

 

시민에게 다가서는 행정, 발로 뛰는 적극적인 행정이 아쉽기만 하다.

 

 

 

 

 

 

 

배너
배너


구리시의회 김성태 부의장, 제349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 - 국가유공자 마을버스 무료 이용 지원
[아시아통신] 구리시의회 김성태 부의장은 4월 24일 제349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국가를 위해 헌신한 국가유공자와 상이군경에 대한 교통복지 정책 개선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김성태 부의장은 구리시가 지난 해부터 시행 중인 ‘어르신 교통비 지원 사업’이 별도의 교통카드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국가유공자 복지카드가 비활성화되어 병행 사용할 수 없음을 지적하며, 상이군경들의 일상에 직접적인 불편을 겪게 하는 일률적인 지원 방식을 비판했다. 이어 파주, 하남 등 인근 지자체의 사례와 비교하여 ▲조례 등 제도적 기반 마련 ▲운수업체와의 협약을 통한 시범 운영 ▲노선별 이용 현황 등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한 확대방안 설계 ▲타 지자체 벤치마킹을 통한 구리시에 적합한 실행 모델 구체화 등 상이군경에 대한 교통복지 정책 실현을 위한 단계적인 실행 전략을 제시했다. 김성태 부의장은 “상이군경에 대한 사회적 예우는 단순한 시혜나 복지가 아닌 국가와 지역사회가 반드시 이행해야 할 책무이며 정의와 형평을 실현하는 실천의 문제”라며, “상이군경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실적인 교통복지 정책을 마련하고 제도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