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8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뉴스

부천시, 항일독립운동사 재조명 총력…연구·교육·문화로 앞장선다

23~24년 학술토론회서 기록 오류 수정…독립기념관도 인정·시민 인식 제고

 

[아시아통신] 부천시가 지역 항일독립운동사를 새롭게 조명하고 기념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시는 2020년 '부천시 항일독립운동 기념에 관한 조례' 제정 이후 학술연구와 토론은 물론, 공연·교육 콘텐츠 제작을 통한 시민참여 사업까지 다각도의 활동을 이어가며 ‘살아있는 역사 계승’에 힘쓰고 있다.

 

지난 2023년부터 2년간 개최된 학술토론회에서는 지역 독립운동사의 잘못된 기록을 바로잡는 성과를 거뒀다. 민족문제연구소 부천지부는 ‘계남면사무소 습격 항쟁’의 실제 발생지가 인천 계양면임을 밝혀 기존 기록을 수정했다. 이 결과는 도서관과 학교, 의회, 시민사회 등에 배포돼 폭넓게 공유됐다. 독립기념관도 올해 이를 3월 공식 기록에서 해당 내용을 삭제하며 역사적 정정을 뒷받침했다.

 

지난해 학술토론회는 부천 출신 근대 지식인 ‘부천 삼변(변영만·변영태·변영로)’ 형제를 주제로 이들의 항일 정신과 업적을 재조명했다. 시는 지역 독립운동 인물을 발굴해 역사적 가치를 알리는 데 주력하며 시민들의 인식 제고에 앞장섰다.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행사의 외연을 ‘시민 참여형 문화·교육’으로 대폭 확장했다. 지난 3월 열린 제106주년 3·1절 기념식에서는 창작 무용과 소사리 만세운동을 재현한 뮤지컬 공연, 거리 만세 퍼포먼스로 큰 호응을 얻었다.

 

아울러 지난달 열린 광복 80주년 경축식에서는 의전 형식을 과감하게 탈피한 ‘공연형 광복절 행사’을 도입해 기념식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부천의 항일역사를 창작 뮤지컬로 재현하고, 내빈 소개를 극 중 장면에 자연스럽게 녹여낸 실험적 시도로 주목받았다. 이 자리에는 카자흐스탄 거주 독립유공자 후손들도 참석해 국제적 의미도 더했다.

 

부천시는 자라나는 미래세대가 역사에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문화·교육 콘텐츠 개발과 확산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웹툰 ‘부천의 불꽃’을 제작해 소사리 만세운동, 소사역 노동자동맹파업, 부평농민조합 소작료 인하 투쟁을 다루고, 이를 초·중·고교와 지역아동센터에서 상시 활용가능한 교육 자료로 제공하고 있다.

 

부천시는 내년에도 학술토론회와 연구 활동을 정례화하고, 지역 독립운동사를 더욱 체계적으로 정리해 성과를 시민들과 널리 나눌 계획이다. '부천시 항일독립운동 기념에 관한 조례' 취지를 기반으로, 지역 역사에 대한 이해와 자긍심을 더욱 높여 나갈 방침이다.

 

조용익 부천시장은 “앞으로도 장기적 관점에서 지역 숨은 독립운동사를 끊임없이 발굴하고, 문화예술과 접목해 모든 세대가 쉽게 접하고 공감할 수 있는 역사 계승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배너
배너


수원특례시의회 유재광 의원, 제7회‘다산의정대상’수상
[아시아통신] 수원특례시의회 유재광 의원(국민의힘, 율천·서둔·구운·입북)이 17일 경기아트센터에서 개최된 ‘제7회 다산의정대상’ 시상식에서 기초정치 부문 의정대상을 수상했다. 유재광 의원은 도시미래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 「수원시 야생조류 충돌 예방 조례안」을 비롯한 대표발의 7건을 통해 생활환경 개선과 제도적 기반 마련에 앞장서 왔다. 또한 의원연구단체 활동으로 ▲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대행업체 민간위탁 개선방안 연구회」▲ 「수원시 엘리트체육 경쟁력 향상을 위한 연구회」에 참여하며 정책 대안을 모색하고, 시민 생활과 직결된 문제 해결에 기여했다. 유 의원은 “의정활동의 모든 과정은 결국 시민의 불편을 해소하고 더 나은 생활환경을 만드는 일이라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를 의정에 담아내고, 시정 발전과 시민 행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다산의정대상은 중부일보 주관으로 2019년부터 시작돼 올해로 7회째를 맞았으며, 주민 생활과 밀접한 현안을 해결하고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한 광역 및 기초의원을 발굴·시상함으로써 생활정치와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데 의미를 두고 있다.